부가 의문문 "Tag Questions" - Part 2
주로 회화에서 쓰이며, 앞문장(주절)이 긍정이면 부정의 부가의문을, 앞문장이 부정이면 긍정의 부가의문을 사용.
● 주절에 be동사가 있을 땐 be동사, 조동사가 있을 땐 조동사를 부가의문문에서 사용한다.
* They are listening to the radio, aren't they?
* She can't speak French, can she?
● have가 본동사로 쓰여져 ‘소유하다’의 뜻일 땐 부가의문문에서는 do로 쓸 것.
Tom has a book, doesn't he? (O)
Tom has a book, hasn't he? (X)
● have가 조동사로 쓰일 땐 have로 쓴다.
You've been to Pusan, haven't you?
● have to는 부가의문문에서 반드시 have 대신 do를 사용한다.
You have to study English, don't you?
● 일반동사는 부가의문문에서 do를 사용한다.
* You bought a new car, didn't you?
● 조동사 should나 ought to는 반드시 shouldn't I 의 형태로 쓴다.
You should study harder, shouldn't you?
I ought to go by plane, shouldn't I?
● You'd는 You had의 약자이며 had better의 부가의문문은 hadn't이다.
She's doing her best, isn't she? (= She is doing her best.)
She's done her best, hasn't she? (= She has done her best.)
You'd better go at once, hadn't you?
● 명령문의 부가의문문은 주절이 긍정이든 부정이든 언제나 will you?로 쓰며
단, 권유의 뜻으로 쓰인 명령문은 won't you? 를 사용한다.
Do it at once, will you?
Have a cup of coffee, won't you?
● 주절에 no, nothing, seldom, hardly, scarcely 등이 있을 경우는 이들 자체가 부정의 뜻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부가의문문은 긍정으로 쓴다.
We have no time, do we?
He seldom came here, did 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