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66일 습관의 법칙/13: F형 인간 (15)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출처: https://youtube.com/watch?v=2Jpyi7f8FK8&si=qfni48NayJ30jCoO.

*출처: https://youtube.com/watch?v=2Jpyi7f8FK8&si=qfni48NayJ30jCoO..

1. 전갈의 존재 이유*내가 인생에서 마주할 사람 - 3가지 유형 • 첫번째 유형: 나를 이유 없이 좋아하는 사람• 두번째 유형: 나를 좋거나 싫지도 않는 사람• 세번째 유형: 나를 이유 없이 싫어하는 사람 *전갈 = 나를 이유 없이 싫어하는 사람어떤 사람은 그저 전갈이기에 나에게 독침을 쏘는 것뿐이다. 2. 기억의 선택 작용*이 세상에는 왜 나에게 상처주는 사람이 존재할까?전갈이 독침을 쏘는 것처럼, 본능적으로 나를 싫어하는 사람이 존재한다. *자신은 항상 남에게 친절한 편이지만, 어떤 사람을 나를 못 살게 구는 걸까? 우리 인간은 모두 1인칭 시점으로 살아간다.자신이 타인에게 잘해준 것을 너무 잘 기억한다.그렇기 때문에 비록 내가 완벽한 인간은 아니지만, 나름 착한 사람이라는 자아상을 만들어낸다.이..
*스몰 톡을 하는 이유? • 교류와 교감 *상대를 특별하게 만들어주기 1. 자랑하게 만들기. • 상대가 자랑하고 싶어하는 질 문 중, 소소한 소재로 시작. e.g.) 새로 산 아이템, SNS의 가벼운 소식, 상대가 이미 오픈한 것들 중, 눈에 보이는 것들 위주. 상대가 이미 이를 공개한 것이기 때문에 부담을 느끼지 않음. • +본인의 평가를 빼고, 언급. • 주의점 나의 감상이 들어가 있지 않기 때문에 말투와 표정을 긍정적으로 해야 함. 어조와 표정에 신경써야 함. 2. 공통점 언급. • 앞서 대화 중 나왔던 상대방과의 공통점을 자연스럽게 언급. • 상대와 나의 관심사 중 겹치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며 자연스레 흥미를 유발 • 취향, 성격 중에 나와 겹치는 부분이 있다면, 이를 드러내는 것이 좋음...

인간의 뇌는 이득의 기쁨보다 손실에서 느끼는 고통을 훨씬 크게 인식함.동전을 던져서 앞면이 나오면 +20만원을 받고, 뒷면이 나오면 -10만원을 잃음.—> 손실을 피하려는 욕구가 매우 강하게 작용..희소성은 인간을 움직이게 한다.”경매에서 등장하는 상품이 희소하다는 말을 들었을 때, 참가자의 뇌에서 가치평가와 관련된 부분(안와전두피질)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드러났다.“ — .사막에서 마실 물이 단 한 병밖에 남지 않은 사람이 과연 여유롭게 거래를 할 수 있을까?.“나는 너한테 100% 순수한 감정을 쏟고 있으니까 너도 그걸 받아줘야 해“상대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진심은 진심이 아니라 부담이다..

3단 질문법닫힌 질문 → 양자택일 → 열린 질문⇒ 쉬운 대답의 흐름 1단계: 닫힌 질문 [YES or NO로 대답할 수 있는 질문하기] 2단계: 양자택일 [A와 B중에서 고르는 질문을 하기] 3단계: 열린 질문 [그 선택에 대한 이유를 묻기]

※ 구체적인 단어 사용하기생동감 넘치는 말 → 구체적인 단어 페르디낭 드 소쉬르 (Ferdinand de Saussure) 시니피앙 ⇒ 시니피에→ 문자 그 자체 → 상상하는 이미지. 해변가에 [개]가 묶여있어• 사전적 의미: 시니피앙• 상상하는 이미지: 시니피에 명확한 의미전달 → 생동감 해변가에 개가 묶여있어 (X)해변가에 핏불테리어가 묶여있어 (O) 포괄적인 표현 지양예시)그때, 그거, 거기서..*출처: 횡설수설하는 사람의 특징 2가지 https://youtu.be/aRq5ou74z8U?si=nYUa9-fB_S6Eq8Xp

1. 얻고자 하는 것: 지금 내가 얻고 싶은 게 뭐지?2. 핵심을 파악하려는 습관: 여기서 핵심은 뭐지?출처: https://youtu.be/pyuMZeRNFQE?si=DI5TFALVFlXH3Blv .
✅ Q. 누구와 언제 대화해야 할까?좋은 대화 상대는 오히려 나와 경험이 다른 사람. 본능적으로 '누구랑 말을 할래?' 라고 하면, 나랑 비슷한 사람이랑 말을 하려고 한다.근데 '내가 내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내 주변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내가 안 한 경험과 내가 모르는 노하우로 내 머리를 채워야 된다'라는 걸 인지하는 순간, '굉장히 다양한 사람들과 대화한다는 게 즐거워진다'라고 느꼈다.∴ 나를 더 넓혀주는 다양한 사람과의 대화 대화가 끝난 후, 스스로 본인에게 피드백을 주는 시간예를 들면, '자랑을 좀 덜할 걸...'후회는 너무 할 필요는 없지만, '다음에는 좀 다르게 접근해야 겠다' 라던지혹시, 말실수를 했을 경우 꼭 상대방에게 연락해서 사과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