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elf-Development/논리 & 논술 & 토론 & 토의 & 담론 (28)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후반부 - Pros/Cons Debate: 찍먹 찬/반 토론』 【3. Debate】Motion: A company should "support" its employees in achieving "self-actualization"(회사는 직원의 "자아실현"을 "지원"해야 하는가?) Pros(찬성): 지원해야 한다 VS. Cons(반대): 지원할 필요 없다. ★토론 준비하기★1) 주장 3개를 각 팀에서 준비합니다.2) 준비하는 동안 팀원들은 각 주장에 대해 자신의 의견 또는 근거를 생각해보기. ★토론★1) 토론 시작 시찬성/반대 팀원들이 준비한 주장에 대해 차례대로 자신의 의견 또는 근거를 발표.예를 들어, 찬/반 팀이 각 4명이라면→ 찬성팀 1번, 2번, 3번, 4번 순서로 발언→ 반대팀도 같..
• POI.; Point of Information: 질의 : 상대 측이 발언 중인 연사에게 직접 제시할 수 있는 질문 또는 의견입니다. 연사는 POI를 받아들이거나 거절할 수 있습니다. POI는 각 연설의 첫 1분과 마지막 1분, 그리고 반박 중에는 제시할 수 없습니다. • POC.; Point of Clarification: 설명 요청 : 총리와 야당 대표에게만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는 발표자의 주장 또는 논제 해석을 명확히 하기 위한 질문입니다. POC는 거절할 수 없습니다.
• cherry-picking. /ˈtʃeri pɪkɪŋ/ [uncountable] -the act of choosing the best people or things from a group and leaving those that are not so good : 특정한 사실, 데이터, 증거 등을 자신에게 유리한 것만 선택하고 불리한 것은 무시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이 표현은 영어에서도 비유적으로 사용되며, 한국어로는 "유리한 것만 골라서 취하다", "선별적 수용", "부분만 발췌해서 왜곡하다" 정도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의도적으로 정보의 일부만 취사선택하여 왜곡된 인상을 주는 행동을 가리키는 표현입니다. e.g.) There can be no cherry-picking of statistics th..
"Economic success in Korea is dictated by academic background.": (한국에서 경제적 성공은 학벌에 의해 좌우된다.)=====================================.🟢 Pro Arguments: Why Academic Background Determines Economic Success 1️⃣ Academic background remains a key factor in securing high-paying and stable jobs.• Large corporations, public enterprises, financial institutions, consulting firms, and major law firms still pla..
Motion 발제와 Argument 주장의 차이를 설명하겠습니다. 1. Motion (발제) *정의: Motion은 주로 토론(debate)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토론의 주제나 논의할 주장을 간결하게 제시하는 문장입니다. 일반적으로 "This House Believes That (THBT)", "This House Would (THW)", "This House Regrets (THR)"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역할: Motion은 토론의 방향을 설정하고, 참가자들이 어떤 주제에 대해 논의할지 명확하게 제시합니다. *예시: "This House Believes That social media does more harm than good." (이 토론에서는 소셜 미디어가 이익보다 해를 더 많이 끼친..

🔹 수정된 논제 (더 극단적으로 찬반이 나뉠 수 있도록) "AI should be given the authority to decide on withdrawing life-sustaining treatment." (AI는 연명 치료 중단을 결정할 권한을 가져야 한다.) → **AI가 단순히 돕는 것이 아니라, 직접 연명 치료 중단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하는가?**를 묻는 논제로 변경됨. → AI가 인간의 생명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 됨. → 찬성: AI가 가장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 반대: 인간의 생사 결정권을 기계에 맡겨서는 안 된다. "AI, not humans, should make final decisions on withdrawing life-s..
#발언 • Affirmative Speech: 찬성 측 연설 • Defense Speech: 변호 또는 방어 연설 • Supporting Argument: 논거를 뒷받침하는 주장 (토론에서 자주 사용) • Supporting Statement: 지지하는 발언 • Rebuttal Speech: 반박 연설 (토론에서 상대 논거를 반박하는 경우)
메세지를 반박할 수 없다면, 메신저를 공격하라
■ 기여입학제 찬성과 반대에 대한 논거[찬성 측 논거]*논지 1: 대학 재정 안정화*근거:1) 기여입학제를 통해 대학은 재정적으로 더 안정적인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음.2) 학비 외 추가적인 기부금으로 연구, 교육 시설 확충 및 질적 향상 가능.3) 정부 재정 지원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음.↔1) 기여입학제로 인해 발생하는 재정 수익은 특정 학생의 입학 기회를 구매하는 형태로 인식되어 대학의 평판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음.2) 장기적으로 기여입학제는 중산층 이하의 학생과 학부모의 신뢰를 잃게 만들어, 입학 지원율 감소와 재정적 손실로 이어질 위험이 있음.3) 대학 재정 안정화는 기부금 외에도 정부와 민간 협력을 통한 다양한 재원 조달 방법이 더 공정하고 지속 가능할 수 있음. *논지 2: 대학의 자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