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국어 문법 (27)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국적 불명의 말들, 올바른 우리말로 바꿔쓰기 1. 복지리 ▶ 복싱건탕 '지리'는 일본어 '汁(じる)'가 변한 말로 '싱건탕'으로 바꿔 써야 한다. 흔히 '복지리(鰒じる)'라는 말을 많이 쓰는데, 이는 '복국'이나 '복싱건탕'이라고 하면 됩니다. '싱건탕'은 '싱거운 탕'이라는 뜻으로 '매운탕'과 짝을 이루고 '싱거운 김치'를 뜻하는 '싱건김치'와 같은 말에서 그러한 조어법을 찾을 수 있다. 2. 터키탕 ▶ 증기탕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터키탕'이라고 하는 것은 터키에는 없는 것이다. 따라서 터키에서는 한국어에서 특정 목욕업을 가리키는 말로 터키 국명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항의를 제기해 왔다. 이에 우리 정부에서는 터키 정부의 항의를 이유 있는 것으로 받아들여 '터키탕'을 '증기탕'으로 바꾸어 부르기로 하였..
곤경에 빠지는 건 뭔가를 몰라서가 아니다. 뭔가를 확실히 안다는 착각 때문이다.
• 건별 : 건(件)마다 따로따로 함. - 표준국어대사전 : ((주로 ‘건별로’의 꼴로 쓰여)) 건(件)마다 따로따로 함. -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예문) 건별 거래. 건별로 분류하다. 건별로 처리하다. 업무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하여 건별로 나누어 처리합시다.
• 부보 명사. 경제 보험에 가입하기 위하여 보험자와 보험 계약을 맺는 일. 규범정보 순화(행정 용어 순화 편람(1993년 2월 12일)) ‘부보’ 대신 순화한 용어 ‘보험들기’만 쓰라고 되어 있다. 출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eea441cb12b942da842847567e0fe211
• 상 접사 I. (일부 명사 뒤에 붙어) 1. 그것과 관계된 입장’ 또는 ‘그것에 따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예시) 관계상. 미관상. 사실상. 외관상. 절차상. 2. ‘추상적인 공간에서의 한 위치’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예시) 인터넷상. 전설상. 통신상. 3. ‘물체의 위나 위쪽’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예시) 지구상의 생물. 지도상의 한 점. 직선상의 거리. 도로상에 차가 많이 나와 있다. Ref) [학습 정보] 관련 규범 해설 한 단어이므로 붙여 쓴다. - 한글 맞춤법 1장 2항 출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1265054493884ea2a6762372ee26c828
• -별4 別 접사, 접미사 (일부 명사 뒤에 붙어) : ‘그것에 따른’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 일부 명사 뒤에 붙어, ‘그것에 따라 구별한 단위’의 뜻을 더하여 명사를 만드는 말. 주로 조사 ‘로’와 함께 쓰인다.예문) 능력별. 성별. 월별. 직업별. 학년별. 수준별 유형별 각 팀별로 주장을 뽑아 주세요.*출처: https://ko.dict.naver.com/#/entry/koko/95eb64f1efb4422daca95e187fb1897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