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Business (73)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 위대한 수업 . 유발 하라리. 3강 AI와 직업의 미래. (2022.02.02.) ■ AI의 위협을 받는 직업의 특징 1. 대체하기 쉬운 분야 2. 돈이 많이 오가는 산업 *대체하기 쉬운 직업 유형: 데이터 분석 업무 정보를 받아서 그것을 분석하고, 정보가 축적되면 결과를 내는 일 Cf) 육체적인 힘을 사용하는 직종, 사회적 관계와 연관된 직종들은 대체가 어렵다 e.g.) 의사 VS 간호사 → AI 의사가 먼저 나올 것 ■ 창의력 창의력? 어떤 패턴을 파악 → 섬세하게 분해 → 새로운 방식으로 조합 ⇒ AI가 정말 잘하는 것 ■ AI 텔레비전 당신 몸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감지. e.g.) 주인공이 나타날 때마다 지루해 한다면? 반면 조연배우가 나타날 때마다 재미있어 한다면? ∴ 창의력이 필요한 분..
42일차. 세계는 지금_호주 연락 끊을 권리 (Right to Disconnect Laws)*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hTAiOHHU7jMyCsnYBH6KgRmyD6J7_hpN/view?usp=sharing (2024-09-11) 세계는 지금_호주 연락 끊을 권리 (Right to Disconnect Laws).mp4 drive.google.com
2023년 라면 수출액 역대 최대 9.5억 달러(≒ 약 1조 2,700억 원) 면발 길이로는 지구 2,539바퀴 가능 *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6rSBBjxpIWOsAuAmQHmPMXCfNjDBBh_d/view?usp=sharing(2024-09-11) 세계는 지금_K- 라면.mp4drive.google.com
*중국 부동산 위기! 중국발 리먼브라더스 사태? → 중국발 금융위기로 확산 가능성*트럼프 공언• 모든 국가 수입품 보편관세 10~20% • 對(대할 대) 중국 관세 60~100%*7월 공화당 전당대회 "중국산 자동차 관세 200% 부과" 발언 by 박원곤 이화여자대학교 교수*해리스, 對 중국 압박 지속 전망*지난 4월 관세법 제정. 중국, 12월부터 '맞불 관세' 시행 예정 by 강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중국학과 교수*시진핑 체제, 경제보다 안보 우선시*체제 유지·안보 강조 반면 경제문제 대응 미흡*시진핑, 과학기술 자립 초점*민간 경제 회복 위한 조치 필요*장기적으로 저성장의 늪에 빠질 가능성 *출처: 극우의 가짜뉴스 선동에 영국 전역 폭력시위 (KBS_367회_2024.08.17.방송)..
*베트남 2024년 1분기 제조업 성장률 7%• 우회수출: 특정 상품이 수입 규제, 관세 부과 대상일 때, 제3국으로 원산지 변경, 제재 시행국으로 수출*2023년 1분기. 중국의 베트남 투자, 전년(=2022년) 대비 약 70% 증가. *출처: 극우의 가짜뉴스 선동에 영국 전역 폭력시위 (KBS_367회_2024.08.17.방송) *링크: https://drive.google.com/file/d/1WQ-AswVbVqXz2ywv5ipo3P7_qOZBMBlp/view?usp=sharing (2024-09-10) 세계는 지금_엑소더스 차이나. 그들은 왜 동남아로 갔나.mp4 drive.google.com
• 무용 계급 (useless class): 일을 하지 못해 사회적으로 쓸모 없어진 사람들
• 저우셴커: 특정 경로로 밀입국하는 사람.지난해(=2023년) 중국인 약 2만 5천 명이 미국 남부 국경을 넘어 망명 신청
화낙(Fanuc Corp)화낙은 주로 공장 자동화, 로봇 및 로봇 기계 공급에 종사하는 일본 제조 회사. CNC 시리즈, 서보 모터, 레이저, 로봇 시스템, 소형 머시닝 센터, 전기 사출 성형기, 와이어 컷 방전기 및 초정밀 기계의 제품을 제공한다. ABBABB는 소프트웨어를 전기화, 로봇 공학, 자동화 및 모션 포트폴리오에 연결하여 사회와 산업을 보다 생산적이고 지속 가능한 미래로 변화시키는 선도적인 다국적 회사. ABB는 로봇, 컨트롤러, 소프트웨어, 기능 패키지, 셀,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컨트롤러, 산업용 PC 및 로봇 솔루션을 포함한 로봇 공학 및 기계 자동화 솔루션을 제조 및 판매한다. 쿠카(KUKA)독일 그룹이고 CEO가 독일이지만 중국 가전업체 메이디가 대부분의 지분을 인수했다. ..
글로벌 산업용 로봇시장 점유율 6위지만 갈길 먼 현대로보틱스김국헌 기자 입력 2023.01.23 06:00 글로벌 산업용 로봇시장 점유율 2%...일본 5개 업체가 59% 차지성장동력 확보 위해 산업용 로봇 신제품 개발과 서비스 로봇 경쟁력 제고 필요 현대로보틱스. 국내 산업용 로봇 1위업체이고 글로벌 순위는 6위지만 시장점유율이 2%에 불과하다 삼성증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2022년) 기준 글로벌 산업용 로봇기업 1위는 16% 점유율의 화낙(일본), 12% 점유율의 에이비비(덴마크), 12% 점유율의 쿠카(독일), 10% 점유율의 가와사키(일본), 9% 점유율의 야스카와(일본)다. 1위부터 5위까지 중 일본 업체가 세곳이나 있을 정도로 일본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은 상위 5개 기업이 전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