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서 올리는 공간입니다.』

【영어과외】【취직·이직 멘토링】【커리어 컨설팅(경력개발)】 진행합니다. carriver77@naver.com

영어/영어 문법·어법

부가 의문문 "Tag Questions" - Part 1

태뽕이 2021. 2. 2. 23:02
728x90
SMALL

부가 의문문(Tag Questions)부가 의문문 "Tag Questions"

 

Part I 에 있는 [A]의 문장들에 적절한 부가의문문(tag question)을 만들어 보고, [B]에 제시된 답과 다르거나 혹 같다 하더라도 왜 그런지에 대해 알고 싶다면,

Part II 에 제시된 부가의문문 문제들을 먼저 직접 풀어보고

Part III 의 설명과 비교해 보자.

 

======================================================

 

Part I: Warming-up

[A]

a. There weren't any mistakes, _____?

b. A person shouldn't do such things, _____?

c. I'm pretty smart, _____?

d. You must try harder, _____?

e. That's your chemistry professor, _____?

f. I don't think Jim is smart, _____?

 

[B]

(a) were there?

(b) should they?

(c) right? / ain't I? / aren't I?

(d) 부가의문문 불가

(e) isn't it?

(f) is he?

 

======================================================

 

Part II: Exercise

 

(1) You can see it, _____?

(2) You can't see it from here, _____?

(3) We could do it, _____?

(4) They couldn't see us, _____?

(5) She is coming soon, _____?

(6) It wasn't raining then, _____?

(7) She was near the end, _____?

(8) They weren't ready, _____?

(9) You wrote this yourself, _____?

(10) You didn't write this yourself, _____?

(11) They have finished their homework, _____?

(12) He hasn't met her, _____?

(13) She has two brothers, _____?

(14) The police are coming soon, _____?

(15) Your brother should know better, _____?

(16) A person shouldn't do such things, _____?

(17) There weren't any mistakes, _____?

(18) There is a bug in your soup, _____?

(19) He'd probably eat it, _____?

(20) He'd probably eaten it, _____?

(21) He'd rather stay here, _____?

(22) He'd better stay here, _____?

(23) He'd probably put it there, _____?

(24) She's proving it, _____?

(25) She's proven it, _____?

(26) He ain't your brother, _____?

(27) He ain't been here before, _____?

(28) I'm not really ugly, _____?

(29) I'm pretty smart, _____?

(30) It may rain tonight, _____?

(31) You must try harder, _____?

(32) He must try harder, _____?

(33) That's not what you mean, _____?

(34) That's your chemistry professor, _____?

(35) John regrets that she likes you, _____?

(36) I think he likes you, _____?

(37) I don't think he likes you, _____?

 

======================================================

 

Part III: Explanation

1. 예문 (1-4)

(1) You can see it, _____?

(2) You can't see it from here, _____?

(3) We could do it, _____?

(4) They couldn't see us, _____?

 

[1] 부가의문문:

(1) can't you?

(2) can you?

(3) couldn't we?

(4) could they?

 

[2] 부가의문문의 규칙

조동사를 복사하여 문장 뒤에 놓는다.

조동사의 부정극성을 바꿔준다: 긍정은 부정으로 그리고 부정은 긍정으로

[조동사 + not]은 축약형으로 만든다

주어를 복사하여 [조동사 (+not)]의 뒤에 놓는다.

의문부호를 마지막에 놓는다.

 

[3] 설명

[조동사 + not]을 축약형으로 만들지 않는 경우 비문이 된다. (3)과 (3')을 비교해 보면 유일한 차이는 [could not]의 축약 여부이다. (3)과 같이 축약이 되면 문법적인 문장이 되고, (3')과 같이 축약이 되어 있지 않으면 비문이 된다. 이 문제는 뒤에서 다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3) We could do it, couldn't we?

(3') *We could do it, could not we? ["*"는 그 문장이 비문법적임을 나타낸다]

 

[can not]은 현대영어에서는 can not으로 쓰지 않고 cannot이나 can't로 쓴다.

can/could와 같은 조동사로는 must, may/might, will/would, shall/should 등이 있다.

 

----------------------------------------------------------------------------------------

 

2. 예문 (5-8)

(5) She is coming soon, _____?

(6) It wasn't raining then, _____?

(7) She was near the end, _____?

(8) They weren't ready, _____>

 

[1] 부가의문문:

(5) isn't she?

(6) was it?

(7) wasn't she?

(8) were they?

 

[2] be 동사

조동사로서의 be 동사: 진행형이나 수동태를 만드는데 쓰인다.

(5')

a. The police are coming soon.

b. The man was arrested by the police.

 

본동사로서의 be 동사

(7) She is pretty.

be 동사는 조동사로 쓰이든 본동사로 쓰이든 의문문, 부정문, 부가의문문 등과 관련하여 조동사와 같은 기능을 한다.

영어에서 하나의 동사가 갖을 수 있는 이형태는 동사에 따라 3가지에서 8가지까지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동사 hit은 hit(원형, 현재, 과거, 과거분사), hits(3인칭 단수 현재), hitting(현재분사)의 3가지 이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영어에서 8가지의 이형태를 가질 수 있는 유일한 동사는 be 동사뿐이다: be, am, are, is, was, were, been, being.

 

----------------------------------------------------------------------------------------

 

3. 예문 (9-10)

(9) You wrote this yourself, _____?

(10) You didn't write this yourself, _____?

 

[1] 부가의문문:

(9) didn't you?

(10) did you?

 

[2] 설명

(9)의 예문과 같이 조동사가 없는 경우에, 부정/의문/부가의문 등 조동사를 필요로 하는 구문에서는 동사 do를 주어의 인칭과 수 그리고 동사의 시제에 맞춰 조동사의 위치에 첨가한다.

(10)의 예문에서는 동사 do가 조동사로 쓰이고 있다.

 

----------------------------------------------------------------------------------------

 

4. 예문 (11-13)

(11) They have finished their homework, _____?

(12) He hasn't met her, _____?

(13) She has two brothers, _____?

 

[1] 부가의문문:

(11) haven't they?

(12) has he?

(13) doesn't she?

 

[2] have 동사

조동사로서의 have 동사: 완료형을 만드는데 쓰인다. (예, (11-12) 참조)

본동사로서의 have 동사 (예, (13) 참조)

조동사로서의 have 동사는 다른 조동사와 같은 문법적 행태를 보인다.

본동사로서의 have 동사는 미국영어와 영국영어에서 차이를 보인다.

 

미국영어에서는 일반동사와 같이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조동사가 필요한 구문에서는 동사 do의 적절한 형태가 사용된다.

영국영어에서는 본동사로 쓰이는 have 동사도 조동사를 필요로 하는 구문에서는 조동사처럼 취급하는 경향이 있다.

 

(13')

a. She doesn't have the book. (미국영어)

b. She hasn't the book. (영국영어)

 

(13")

a. Does she have the book? (미국영어)

b. Has she the book? (영국영어)

 

따라서 (13)의 부가의문문은 (13-a, b)와 같이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13)

a. She has two brothers, doesn't she? (미국영어)

b. She has two brothers, hasn't she? (영국영어)

 

미국영어와 영국영어는 발음, 단어, 문법 등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미국영어나 영국영어 어는 것을 써도 좋으나, 중요한 것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자신의 영어가 미국영어이면 일관성 있게 미국식 영어를 써야 하고, 또 영국영어라면 일관성 있게 영국식 영어를 쓰는 것이 좋다.

 

----------------------------------------------------------------------------------------

 

5. 예문 (14-16)

(14) The police are coming soon, _____?

(15) Your brother should know better, _____?

(16) A person shouldn't do such things, _____?

 

[1] 부가의문문:

(14) aren't they?

(15) shouldn't he?

(16) ???

 

[2] 설명

부가의문문의 주어

부가의문문을 만들 때, 주어를 복사하라고 했는데, 그럴 경우 다음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비문이 된다.

(14') *The police are coming soon, aren't the police?

(15') *Your brother should know better, shouldn't your brother?

 

따라서 우리는 이와 관련된 부분을 다음과 같이 수정해야 한다: 주어를 주격대명사 형태로 복사한다.

 

(14) The police are coming soon, aren't they?

(15) Your brother should know better, shouldn't he?

 

Gender 문제

영어 대명사에서 남/여 성의 구별을 보이는 것은 3인칭 단수뿐이다.

(14)의 주어는 복수이고 (15)의 주어는 3인칭 단수이기는 하지만 남성이 분명하기 때문에 각각 they와 he로 할 수 있으나, (16)의 주어는 3인칭 단수로 남/여 성이 나타나 있지 않기 때문에 he와 she 사이에 선택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전통적으로는 he/she의 선택이 문제가 될 때 남성형인 he를 사용해 왔다.

따라서(16)에 적절한 부가의문 형태는 (16a)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6) a. A person shouldn't do such things, should he?

 

최근에 feminism 운동이 일어나면서 a person, everyone, a student와 같이 남/녀 성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를 대명사로 받을 때는, 전통적인 he에서 벗어나 he or she, he/she 등의 대안들이 쓰이고 있으나 부가의문문이 구어체의 성격이 강한 구문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he or she나 he/she를 쓰는 것은 부적절해 보인다.

 

이러한 문제의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복수의 they이다. 영어에서 수의 일치는 강력한 문법적 요구사항이기는 하지만, 수의 일치를 어기더라도 남녀평등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따라 언어가 적응해 가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16)에 적절한 또 하의 부가의문문은 (16b)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남/녀 성이 밝혀지지 않은 3인칭 단수의 대명사로 they를 사용하는 것은 부가의문문에서 뿐만 아니라 영어의 다른 곳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16) b. A person shouldn't do such things, should they?

 

----------------------------------------------------------------------------------------

 

6. 예문 (17-18)

(17) There weren't any mistakes, _____?

(18) There is a bug in your soup, _____?

 

[1] 부가의문문:

(17) were there?

(18) isn't there?

 

[2] 대명사 주어와 there

(1-16)의 부가의문문에서는 주어가 대명사 형태로 나타났다.

 

(17-18)에서는 수의 일치를 야기하는 be 동사 다음의 명사구를 대명사화하여 부가의문문을 만들면 비문이 된다.

(17) a. *There weren't any mistakes, were they?

(18) a. *There is a bug in your soup, isn't it?

 

(17-18)과 같은 문장에 쓰인 there은 대명사가 아니기 때문에 부가의문문의 주격대명사 주어라는 제약에 예외가 되지만 부가의문문에 사용된다.

 

----------------------------------------------------------------------------------------

 

7. 예문 (19-23)

(19) He'd probably eat it, _____?

(20) He'd probably eaten it, _____?

(21) He'd rather stay here, _____?

(22) He'd better stay here, _____?

(23) He'd probably put it there, _____?

 

[1] 부가의문문:

(19) wouldn't he?

(20) hadn't he?

(21) wouldn't he?

(22) hadn't he?

(23) ???

 

[2] 설명

영어에서 'd로 축약될 수 있는 것은 would, should, had이다.

(19-20)에서는 probably가 있기 때문에 'd가 should일 가능성은 배제된다.

would와 had는 다음의 동사가 각각 원형과 과거분사로 나타난다. 따라서 동사원형이 쓰인 (19)의 'd는 would이고 과거분사가 쓰인 (20)의 'd는 had임을 알 수 있다.

 

(19) He'd probably eat it, wouldn't he?

(20) He'd probably eaten it, hadn't he?

 

(21-22)에서는 동사의 형태가 같지만 would rather와 had better라는 숙어가 있기 때문에 (21)의 'd는 would이고 (22)의 'd는 had임을 알 수 있다.

 

(21) You'd rather stay here, wouldn't you?

(22) You'd better stay here, hadn't you?

 

(23)에서는 rather/better도 없고 put은 동사원형과 과거분사가 같은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d가 would인지 had인지는 앞뒤문맥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 따라서 (23)의 적절한 부가의문문은 앞뒤문맥을 알아야만 말할 수 있다.

 

(23)

a. He'd probably put it there, wouldn't he?

b. He'd probably put it there, hadn't he?

 

----------------------------------------------------------------------------------------

 

8. 예문 (24-25)

(24) She's proving it, _____?

(25) She's proven it, _____?

 

[1] 부가의문문:

(24) isn't she?

(25) hasn't she?

 

[2] 설명

영어에서 's로 축약될 수 있는 것은 is와 has 뿐이다. was도 's로 축약될 수 있을 것 같이 보이나 축약되지 못한다. 또한 're는 are의 축약형은 되지만 were의 축약형으로는 쓰이지 못한다.

현재분사와 같이 쓰일 수 있는 동사는 is와 has중 진행형을 만드는 is이기 때문에 (24)의 's는 is이다.

 

(24) She's proving it, isn't she?

과거분사는 is와 has 둘 다와 같이 쓰일 수 있으나 is가 쓰이면 수동태이고 has가 쓰이면 완료형이다. (25)는 수동태 문장이 아니므로 (25)의 's는 has이다.

 

(25) She's proven it, hasn't she?

 

----------------------------------------------------------------------------------------

 

9. 예문 (26-27)

(26) He ain't your brother, _____?

(27) He ain't been here before, _____?

 

[1] 부가의문문:

(26) is he?

(27) has he?

 

[2] 설명

ain't는 be동사의 현재형 am/is/are나 have동사의 현재형 have/has와 not의 축약형으로 쓰이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표준형으로 인정되지는 않는다.

(26-27)의 ain't는 주어가 3인칭 단수이니까 is not 혹은 has not의 축약형으로 볼 수 있는데, (26)의 ain't는 2형식 문장이니까 is not의 축약형이고 (27)의 ain't는 완료구문이니까 has not의 축약형이다.

 

----------------------------------------------------------------------------------------

 

10. 예문 (28-30)

(28) I'm not really ugly, _____?

(29) I'm pretty smart, _____?

(30) It may rain tonight, _____?

 

[1] 부가의문문:

(28) am I?

(29) right?

(30) mightn't it?

 

[2] 설명

am not의 축약문제

am not은 축약형이 없고 부가의문문에서는 [조동사+not]이 반드시 축약형으로 나타나야 하기 때문에 am not은 부가의문문에서 사용될 수 없다.

am not이 축약형을 써야 한다면 ain't나 aren't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29)

a. I'm pretty smart, ain't I?

b. I'm pretty smart, aren't I?

 

부가의문문의 기능과 형태: 부가의문문은 기능상 크게 3가지로 분류된다.

보통의(regular) 부가의문문

부가의문문의 전형적인 기능은 단순히 질문을 하는 다른 의문문과는 달리 말하는 사람이 주절의 내용에 대해 맞다고 생각하면서 듣는 사람에게 그러한 자신의 생각에 대해 동의를 구하는 것이다.

이러한 부가의문문은 부정의 극성이 바뀐다 (긍정은 부정으로; 부정은 긍정으로).

부가의문문의 자리에 쓰이는 right?는 그러한 부가의문문의 기능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29)와 같이 부가의문문을 만들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right?를 쓰면 부가의문문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29) I am pretty smart, right?

도전적(challenging) 부가의문문

부가의문문은 또한 상대가 한 말에 대해 믿기지 않는다는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부가의문문을 도전적 부가의문문이라고 한다.

도전적 부가의문문은, 다음의 Speaker B의 예에서 볼 수 있듯이, 보통의 부가의문문과는 달리 부정의 극성을 바꾸지 않는다.

 

Speaker A: I finished my homework.

Speaker B: You finished your homework, did you? (도전적 부가의문문)

 

자각(self-realization)의 부가의문문

부가의문문은 말하는 사람이 잊고 있던 사실을 스스로 생각해낸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자각의 부가의문문은 형태상으로는 보통의 부가의문문과 같다.

John came last night, didn't he?는 말하는 사람이 John이 어제 밤에 왔다는 사실을 잊고 있다 스스로 그 사실을 생각해내면서 말 할 수 있다.

 

(30)의 may

사전에는 may not의 축약형으로 mayn't가 나와있기는 하지만 실제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0)에서는 may not에 가장 가까운 mightn't로 대체해서 부가의문문을 만들 수도 있다.

 

(30) It may rain tonight, mightn't it?

 

----------------------------------------------------------------------------------------

 

11. 예문 (31-32)

(31) You must try harder, _____?

(32) He must try harder, _____?

 

[1] 부가의문문:

(31) 만들 수 없음

(32) mustn't he?

 

[2] 의무의 의미의 must와 부가의문문

must는 mustn't라는 must not의 축약형이 있기 때문에 (31)에서 부가의문문을 만들 수 없는 것은 위에서 논의한 축약형의 문제와는 관계가 없다.

 

(31)에 쓰인 must는 강한 의무를 나타내는 의미를 갖는다.

 

위에서 부가의문문의 기능은 듣는 사람에게 동의를 구하는 것이라고 했는데, (31)의 문장은 듣는 사람에게 강한 의무를 부과하면서 동시에 그것에 대한 동의를 구하는 것이 기능적으로 상충된다. 따라서 (31)은 부가의문문의 기능과 must의 의미 사이의 충돌 때문에 부가의문문을 만들 수 없다.

 

(32)의 경우에는 제 삼자가 그렇게 해야만 한다고 말하고 듣는이도 동의하지 않느냐고 묻는 것이기 때문에 기능상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부가의문문이 가능하다.

 

(32) He must try harder, mustn't he?

 

----------------------------------------------------------------------------------------

 

12. 예문 (33-34)

(33) That's not what you mean, _____?

(34) That's your chemistry professor, _____?

 

[1] 부가의문문:

(33) is it?

(34) isn't it?

 

[2] 설명

that의 인칭대명사

that은 종종 지시대명사라 하여 대명사로 분류되기도 하지만 부가의문문에서는 쓰이지 못하고 거기에 상응하는 인칭대명사 it이 쓰인다.

 

(34)의 that은 사람을 가리키기 때문에 부가의문문에서 he로 대체될 것 같이 생각될 수 있겠지만, 이 경우에도 it으로 받는다. this/that이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다.

 

 

this/that이 사물을 가리킬 때주어나 목적어 등으로 쓰일 수 있다.

(34')

a. I like that. (사물을 가리키면서)

b. That is very expensive. (사물을 가리키면서)

 

 

this/that이 사람을 가리킬 경우에는 반드시 2형식 문장의 주어자리에서 쓰여야 하고 또 보어가 명사구로 나타나야 한다.

(34")

a. *I like that. (사람을 가리키면서)

b. *This is handsome. (보어가 형용사구인 경우)

c. That is my chemistry teacher. (보어가 명사구인 경우)

d. *That likes the girl. (2형식 문장이 아닌 경우)

 

----------------------------------------------------------------------------------------

 

13. 예문 (35-37)

(35) John regrets that she likes you, _____?

(36) I think he likes you, _____?

(37) I don't think he likes you, _____?

 

[1] 부가의문문:

(35) doesn't he?

(36) doesn't he?

(37) does he?

 

[2] 설명

복문에서의 부가의문문

복문에서 부가의문문은 (35)에서처럼 주절에서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35)

a. John regrets that she likes you, doesn't he?

b. *John regrets that she likes you, doesn't she?

 

think나 suppose와 같은 일부 동사들이 1인칭 주어와 같이 주절을 형성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부가의문문은 종속절에 대해 이루어진다.

 

(36) I think he likes you, doesn't he?

(37) I don't think he likes you, does he?

 

부정어 상승

(36)과 (37)의 종속절은 둘 다 긍정인데 왜 (36)의 부가의문문은 부정으로 (37)의 부가의문문은 긍정으로 나타나는가?

다음 예문들을 생각해 보자.

 

(38)

a. 미나는 그 그림을 전혀 좋아하지 않아.

b. *미나는 그 그림을 전혀 좋아해.

 

(39)

a. Bob didn't come until 7 p.m. last night.

b. *Bob came until 7 p.m. last night.

 

(40)

a. I don't think Bob came until 7 p.m. last night.

b. *I think Bob came until 7 p.m. last night.

 

부정극성어(negative polarity item)란 (38)의 "전혀"와 같이 같은 절 내에서 부정어와 같이 쓰여야만 하는 것들을 말한다.

(39a, b)에서 볼 수 있듯이 until은 "전혀"와 같이 부정극성어이다.

 

(39b)가 비문법적 문장인데 (39b)를 종속절로 갖는 (40a)가 문법적인 문장이 된 것은 종속절에 있는 not이 주절로 상승되었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37)의 부가의문문이 긍정인데도 문법적인 것은 주절에 있는 not이 원래는 종속절의 not이었다고 생각하면 설명이 된다.

 

출처: m.blog.naver.com/ne5korea/203494490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