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직설법』 VS 『가정법』 본문

영어/영어 문법·어법

『직설법』 VS 『가정법』

태뽕이 2021. 1. 21. 01:25
728x90
SMALL

우선 가정법과 직설법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modality(법성)와 mood(서법)에 대한 개념이 있어야 합니다.

 

(1) modality

 

먼저 modality(법성)이란 동사의 어형 변화에 의해 문장의 내용에 대한 화자의 심적 태도인 양상을 나타내는 문법 범주를
의미합니다. 이것은 시제(tense)가 시간(time)의 문법화 범주이듯이, 법성(modality)의 문법화 범주는 서법(mood)
이고 이것은 동사의 어형 변화나 서법 조동사의 도움으로 만들어 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2) mood

 

다음으로 mood(서법)이란 서술 내용의 사실성에 대해서 화자의 확언 여부를 나타내는 수단으로
형태상으로는 이러한 태도를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일정한 언어 형태라고 정의됩니다.
즉, 서법이란 어떠한 진술내용에 대한 화자의 심적 태도(speaker's attitude of mind)를 나타내는 수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현대영어에서 mood(서법)은

 

사실을 사실대로 말하는 직설법(indicative mood)
가정, 의심, 소망등을 말하는 가정법(subjunctive mood)
사람의 강력한 명령이나 의사를 나타내는 명령법(imperative mood)의 3가지로 구분합니다.

 

 

 

(3) 직설법과 가정법의 차이

 

(a1) If she is diligent, I will employ her.

 

(a2) If she were diligent, I would employ her.

 

우리는 (a1)을 직설법 (a2)를 가정법으로 구분합니다.

 

(a1)에서 한국말의 '가정'이라는 의미를 나타내는 것은 맞지만,
직설법으로 (a2)와 구분하는 이유는 (a1)의 if절에 사용된 동사 is가 인칭과 시제에 따라 형태가 바뀌는 정형동사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a2)를 가정법으로 구분하는 이유는 if절에 사용된 were이 인칭이나 또는 시제에 상관없이 쓰이고 있는 형태이기 때문입니다.
즉, (a2)가 가지고 있는 modality(법성)을 가지는 것을 가정법(subjunctive mood)라고 분류합니다. 

 

직설법이 사용된 (a1)에서는 화자가 she가 diligent한지 아닌지 모르는 상태(open condition)를 즉, 가능성을 열어둔 것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가정법이 사용된 (a2)에서는 화자는 she가 diligent하지 않다는 사실(counterfactual condition) 즉, 사실과 다르다는 것을 알고 이야기를 한 것입니다.

 

다시 말해, (a1)은 "그녀가 성실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지만 만약 그녀가 성실하면 나는 그녀를 고용하겠어." 정도의 번역이 가능하고
(a2)는 "휴.. 걔가 만약 성실한 사람이라면(성실하지 않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음), 걔를 뽑을 텐데.." 정도의 번역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직설법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표현이기 때문에 If I am a bird, I will fly to you. 라는 표현이 불가능한 것입니다.

화자는 새가 아닌 인간이므로 화자가 새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둔다면 어색한 표현이 됩니다.

따라서 If I were a bird, I would fly to you. 라고 써야 "내가 만약 새라면(새가 아니라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음), 너에게 날아갈텐데...(그치만
난 새가 아니고 그래서 날 수도 없으니..ㅠㅠ)" 라는 느낌을 가정법을 통해 표현 하는 것입니다.

 

보통의 한국의 영문법 교재에서는 if절에 가정법이 사용된 것을 "가정법"파트에서 다루고 if절에 직설법이 사용된 것을 "부사절"파트에서 조건의 부사절의

항목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4) 가정법 과거

 

가정법 과거는 If 주어 + 과거시제, 주어 would, should, could.. + VR 의 형태로 쓰며

이며 현재사실에 대한 반대가정을 나타내고, 실현 가능성이 희박한 미래를 나타냅니다.

 

(a4) If you loved me, I would marry you.

(a5) If you bought the car tomorrow, you would regret it.

 

(a4)에서는 너는 나를 사랑하지 않다는 사실을 이미 알고 있는 상태에서 현재의 사실을 반대로 가정합니다.
(a5)에서는 대화의 상황으로 미루어보아 화자와 이야기 하는 대상인 you는 the car를 미래에 구매할 가능성이 희박합니다.
그런 상황에서 혹시라도 구매하면 너는 후회를 할 것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5) 가정법 과거완료

 

가정법 과거완료는 If 주어 + 과거완료, 주어 would, should, could.. + have + 과거분사 의 형태로 쓰며

과거사실에 대한 반대가정을 나타냅니다.

 

(a6) If I had been you, I should not have bought the car.

 

(a6)에서는 내가 만일 과거에 너였다면, 나는 그 자동차를 구매하지 않았다는 내용입니다.
즉, 화자인 "I"는 과거에 you일 수 없습니다. 과거에도 그저 "나"일 뿐입니다. 다만 과거의 사실을
반대로 가정해서 "(난 너일 수 없지만)그 당시에 내가 너였다면" 이라고 표현하는 것입니다.

 

 

 

(6) 조건절의 의미 4가지


마지막으로 if가 이끄는 조건절은 의미상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분류가 가능합니다.

 

(1) factual condition (사실조건) : 화자가 사실로 간주하거나 사실처럼 당연시 하는 조건

(2) open condition (개방조건) : 실현이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는 조건

(3) hypothetical condition (가상조건) : 화자가 그 실현 가능성을 희박하다고 보는 조건

(4) counterfactual condition (반사실조건) : 사실과 다른 조건

 

즉, (1)과 (2)는 주로 직설법이 사용되고 (3)과 (4)는 주로 가정법이 사용됩니다.

 

출처:

gall.dcinside.com/board/view/?id=English&no=356003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