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국어 (50)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 자기개발(自己開發) • "자기에 대한 새로운 그 무엇을 만들어냄 또는 자신의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이란 뜻 • 자기개발 '무(無)에서 유(有)'를 만드는 것까지 있는 것 • 자기개발은 자기계발을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 ⏹️ 자기계발(自己啓發) • "잠재되어 있는 자신의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움"이란 뜻. • 자기계발 '유(有)에서 유(有)'를 만드는 것
• 열등성: 객관적인 열등한 성질 • 열등감: 주관적인 감정 • 열등 컴플렉스자신의 열등성을 인정하되, 나 자체를 열등해지도록 방치해 두지 않음.
*띄어쓰기것 데 줄 수 바 체 채 지 만큼 대로 번 뻔 적 뿐 *자음• 무성자음 ㄱㄷㅂㅅㅈㅎㅋㅌㅍㅊㄲㄸㅃㅅㅈ• 유성자음 ㅁㄴㄹㅇ. ㄹ은 유음 나머지 비음 *모음 • 양성 ㅏㅑㅗㅛㅘ• 음성 ㅓㅕㅜㅠㅝ • 무성음 : 무성자음 구두버서줘• 유성음 : 유성자음 마누라야, 모음전부 *형태소아기가 방에서 잠을 잔다→ 아기,가, 방,에서, 자,ㅁ,을, 자,ㄴ,다 *어휘 형태소 1개 한 단어 단일어형태소 2개이상 한단어 복합어 *복합어는 합생어, 파생어• 합생어는 자립가능 논밭-논,밭• 파생어는 한 놈이 의존적임 헛고생-헛(×), 고생 *문장은 홑문장과 겹문장• 공갤러가 ㅂㅅ임이 밝혀졌다= 겹문장 (공갤러가 ㅂㅅ임이라는 절 포함) • 나는 디씨질을 하고 너는 공부를 한다.= 겹문장 (주어 서술어 두개) • 너희..
• 총괄 2: 모든 일을 한데 묶어 관할함. : 모든 일을 통틀어 두루 살펴봄. 예문) 각 부처 업무의 총괄과 조정은 총무과에서 맡기로 했다. • 관할 : 일정한 권한을 가지고 통제하거나 지배함. 또는 그런 지배가 미치는 범위. 예문) 관할 경찰서. 이 일은 내 관할 내에서 일어났고, 또 직속 하급자들이 관련돼 있소. 출처 미군은 어디서나 부대 안에서 일어난 사건을 모두 미군의 관할로 처리하는 것이 관례다. 출처
영어 단어는 100만 개 넘는데 우리는? [고두현의 문화살롱] ■ 한글의 재조명 옥스퍼드 영어사전 표제어 60만 표준국어대사전은 51만 개 불과 그나마 고유어는 25.5%에 그쳐 英 BBC, 단어·숫자로 문장 게임 韓 방송은 '우리말 겨루기' 정도 어른도 아이도 문해력 더 키워야 고두현 시인 일제강점기 국어사전을 편찬한 조선어학회 회원, 아래 왼쪽은 국어학자 주시경, 오른쪽은 호머 헐버트. 반크 제공 미국 로스앤젤레스(LA)시가 오는 6일 ‘한글날’ 제정 선포식을 열고, 매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기념하기로 했다. 5일에는 LA시티칼리지(LACC)가 한글을 창제한 세종대왕 동상 제막식을 개최한다. 미국 대학에 세종대왕 동상이 세워지는 것은 처음이다. 이 학교 한국어 강좌 수강생은 1000명이 넘는다. ..
질문 '체계, 체제'의 뜻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답변 ‘체계(體系)’는 ‘일정한 원리에 따라서 낱낱의 부분이 짜임새 있게 조직되어 통일된 전체’를 뜻하는 말로, ‘체계가 잡히다/체계를 세우다/정보 통신 체계를 마련하다’와 같이 쓰이는 말이고, ‘체제(體制)’는 ‘생기거나 이루어진 틀(‘형식’으로 순화)//사회 조직이나 양식’을 뜻하는 말로, ‘작품의 구성과 체재/체재에 구애되지 않다//냉전 체제/새로운 지도 체제가 들어서다’와 같이 쓰이는 말입니다. 관련단어 [체계] [체제]
*온라인가나다 질의응답 게시글의 보존 유효 기간이 2년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말 즉슨 2년 전에 내가 질문을 올리고 답변받았던 글은 모두 소멸되었다. 지금이라도 남아있는 질의응답글을 보관차원에서 기록한다. [질문] 안녕하세요? 만성적 VS 고질적 차이점 질문드립니다. 두 단어의 기본적인 의미는, 무언가가 오랫동안 존재하지만 없어져야 하는데 또는 사라져야 하는데 그렇지 아니 한 것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저는 이해했습니다. 두 단어의 근본적인 차이점은 무엇이고, 서로 유의어로 이해할 수 있나요? 고질적: https://ko.dict.naver.com/#/entry/koko/6d8b00248fd4413595f997875367d234 만성적: https://ko.dict.naver.com/#/entry/k..
'어떻게 하지'와 '어떡하지' 질문 '어떻게 하지?'와 '어떡하지?'에 대한 질문입니다.'어떻게 하지?'만 맞는 표현이고 '어떡하지?'라는 말은 틀린 표현인가요? 답변 둘 다 쓸 수 있습니다. 다만 '어떻게'는 '어떠하다'가 줄어든 '어떻다'의 어간에 어미 '-게'가 붙은 활용형이고, '어떡하지'는 '어떻게 하지'라는 구가 줄어든 말입니다. 이 일을 어떻게 하지? 이 일을 어떡하지.
• 신병 : 보호나 구금의 대상이 되는 사람의 몸. - 표준국어대사전 : 구속 또는 구금 대상이 되는 법률상의 지위나 자격을 가진 사람의 몸. -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예문) 신병 처리. 신병을 인도하다. 범죄 용의자의 신병을 확보하다. 돼지는 완전히 기가 죽었는지 얌전하게 안쪽으로 끌려 들어갔고, 신병 인수 절차가 끝났다. 출처 경찰은 이미 범인의 신병을 확보하였다. 미군 피의자가 미군 영내에 숨어 버릴 경우 신병을 요구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강력계 형사들이 한 피의자의 신병을 인수함으로써 비로소 그 피의자가 현상수배범임을 알게 되었다. 참고) [규범정보 - 우리말샘] 순화(행정 용어 순화 편람(1993년 2월 12일)) ‘신병’ 대신 될 수 있으면 순화한 용어 ‘몸체’, ‘신분’을 쓰라고 되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