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직무 (36)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목차 고시환율이란? 고시환율과 관부가세 고시환율 계산 및 조회 주간 고시환율 고시환율이란? 말 그대로 적용기준이 되는 환율을 공지한 것을 고시환율이라고 합니다. 매시간 변동하는 환율을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가 없기 때문에 정해놓는 것인데요. 은행에서 환전할 때에는 각 은행의 고시환율을 따르게 되고요. 해외에서 수입, 직구를 할 때에는 관세청 고시환율을 적용합니다. 수입에 따른 세금을 부과하는데 밀접한 관련이 있어 과세환율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관세청 고시환율은 주간 단위로 변동됩니다. 매주 금요일에 다음주에 적용될 환율을 고시하고 그 환율을 일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적용합니다. 고시환율과 관부가세 그렇다면 다음 주에 적용될 환율을 미리 계산해서 면세범위로 구매하면 되는데 왜 관부가세를 내는 경우가 생기는지 ..
세금계산서란 부가가치세법상 과세사업자가 부가가치세를 거래징수하고 그 사실을 증명하기 위하여 교부하는 세금영수증을 말합니다. 따라서 세금계산서는 부가가치세법상의 일반과세사업자가 발행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부가가치세의 매출, 매입내역이 나타나게 됩니다. 세금계산서에는 국세청장에게 신고된 계산서임을 부기하여야 하며, 다음의 사항이 기재되어야만 세금계산서의 기능을 합니다. 1. 공급하는 사업자의 등록번호와 성명 또는 명칭 2. 공급받는 자의 등록번호 3.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액 4. 작성년월일 ① 공급자 : 인쇄하거나 고무인으로 날인 ② 공급받는자의 등록번호 : 공급받는자의 사업자등록번호를 기재하되, 공급받는자가 부가가치세 면세사업자인 경우에는 소득세법 또는 법인세법의 규정에 의한 사업자등록번호 또는 고유번호..
피코ENG, ‘차세대 열교환기’로 승부 핀란드 바트라스사 'PSHE' 국내도입 기존 열교환기의 단점을 보완한 핀란드 바트라스(Vahterus)사의 차세대 열교환기 'PSHE(Plate & Shell Heat Exchanger)'가 국내시장을 파고들고 있다. 지난 2000년부터 PSHE를 국내에 보급하고 있는 피코엔지니어링(대표 이광열)에 따르면 기존 판형 열교환기는 크기가 작은 대신 저압·저온에만 사용이 가능하고, 관형 열교환기는 열전달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광열 대표는 “PSHE는 완전용접형 원형 구조로서 판형과 관형의 장점만을 취합한 혼합형 열교환기”라고 소개했다. 따라서 고온·고압에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크기가 작으면서도 열전달 효율이 높아전세계적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회사에 따르..
※ 공정 재고를 최소화하면서 출고관리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는 재고관리 방법은 무엇인가? _ Kitting System의 개요와 전개 자재창고에서 생산계획에 맞추어서 여러 종류의 부품을 출고하기 위해서 부품 수만큼 출고횟수가 많아진다. 부품별로 수납수(한 상자에 담긴 수량)가 달라서 생산이 진행되면서 부족한 부품은 추가 공급하기도 한다. 문제는 생산이 종료되면 어느 부품은 남아서 공정재고로 쌓인다. 공정 재고를 최소화하면서 출고관리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는 재고관리 방법은 무엇인가? 특히 전자업종에서 출고관리의 효율화와 공정재고의 최소화를 위해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Kitting System에 대해서 이해하고자 한다. 1. Kitting System의 개요 Kitting System은 재고관리 기법 중 ..
7~10년차 역량향상과 경력관리: 22% 연봉: 16% 직무변경: 27% Ref) 직장인이 이직하려는 이유 Top 5. 1. 능력에 비해 낮은 평가 2. 워라벨 3. 현재 업무의 적성 4. 코로나 5. 역량향상과 경력관리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가? 직업적 특성, 성과, 적합도 내 강점에 대한 고민 VS 월급, 승진, 워라밸 고민 Smart, Workforce, JQ: 10년까지. 리더쉽: 10년차 이상. 5~7년차 역량항상과 경력개발(커리어의 성장) - 도전 *커리어 VS 연봉 "커리어" 7년차까지는 직무 전문성을 키워야 할 시기. 직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기회로의 투자가 되야 한다. 취업포트폴리오 직무 결정 → 산업 → 직장. 인생이라는 커다란 관점에서 "지금 내가 어디에 와 있는가(현재의 위치)"..
조직역량이란!? 같은 업종과 같은 비즈니스를 하면서도 다른 회사에 비해 실적이 우월한 회사들이 우리 주변에는 많이 있다. 식당의 경우에도, 같은 장소에 위치하지만 손님은 많은 차이가 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반드시 음식 맛의 차이 때문이고 할 수도 없다. 음식이 신속하게, 순서가 틀리지 않으며, 직원들이 친절하게 움직인다. 그런 조직의 역량 차이가 식당의 경쟁력을 결정하기도 한다. 1. 조직역량이 뭐죠? 조직역량 이란 조직의 업무를 구조화하고 직원들로 하여금 명확하게 규정된 전략상의 목표를 달성하게끔 만드는 독특한 능력을 말한다. 한편 조직역량과 별개로 핵심역량(core competence)이라는 개념이 있다. 핵심역량은 조직역량과 의미에서 겹치는 부분도 있지만,많은 부분에서 서로 다르다. 핵심역량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