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20일차. 감가상각비 (D&A,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본문
감가상각비(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D&A)의 정의
감가상각은 유형자산이나 무형자산을 취득할 때 발생한 자본화된 비용을 해당 자산의 사용 기간 동안 손익계산서상 비용처리한 금액입니다.
핵심요약
▪ 기업의 영업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눠서 계산함
▪ 감가상각비를 계산하기 위해서 취득원가, 잔존가액 및 내용연수를 알아야 함
▪ 감가상각비를 계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정액법이 가장 흔하게 사용됨
✔️부록: 감가상각(D&A)은 왜 발생하나요?
기업은 영업 성장 또는 유지를 위해서 유형자산 취득, 무형자산 취득 등의 투자활동을 합니다. 이러한 투자활동으로부터 1년 이상 동안 사용될 자산들은 자본화되어 기업의 유형자산에 계상됩니다. (투자활동현금흐름표(CFI))에 기록되며, 재무상태표의 자산에 “자본화 (Capitalized)“되는 것임.)
투자활동은 보통 막대한 금액을 필요하므로, 지출된 금액을 모두 손익계산서에 반영하면 기업의 손익 변동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발생주의 회계원칙에 따라서 유형자산 취득을 위해서 지출된 현금은 취득된 시점의 손익계산서에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할 기간(존속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비율) 만큼 '비용처리'되는 것입니다. 만약 자산의 총 매입비용을 한 번에 손익계산서에 반영하게 될 경우, 해당 기간의 비용을 과대평가하고, 사용되는 미래 기간의 비용을 과소평가하게 됩니다.
이 비용을 감가상각비(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이라고 부르며, 이 비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현금 유출이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감가상각비는 재무상태표에 누적되어 자산항목 중 감가상각누계액에 반영됩니다.
✔️부록: Depreciation 과 Amortization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Depreciation은 유형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감가상각비용을 의미하며, Amortization은 무형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감가상각비용을 의미합니다.
✔️부록: 감가상각비를 계산하기 위한 구성요소는 무엇인가요?
• 취득원가 (Acquisition cost)
자산의 취득가격 뿐만 아니라 취득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비용들을 포함합니다. 예를 들어 공장에 설치할 기계장치에 대한 취득원가는 기계장치의 취득금액, 배송비, 설치비 등이 포함되는 것입니다.
• 잔존가액 (salvage value)
자산을 매각하거나 처분할 때까지 모든 감가상각을 끝낸 후에도 재무상태표에 남아 있는 장부 금액입니다. 잔존가액은 0 또는 0보다 클수 있습니다.
• 내용연수(service life)
자산을 취득한 후 사용할 기간을 말합니다. 자산의 종류별로 법정 내용연수가 정해져 있고, 그 기간에 기준하여 감가상각비용이 계산됩니다.
• 장부가치(carrying value)
자산의 취득원가와 감가상각누계액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각 회사는 자산의 감가상각을 시작할 시기에 해당 자산에 대한 자체적인 임계금액 (threshold)을 설정합니다.
✔️부록: 감가상각(D&A)은 어떻게 회계처리하나요?
사용되는 감가상각 회계의 유형은 장비 고유의 특성을 감안하여 선택합니다. 일반적으로 감가상각 정액법이 사용됩니다.
1. 정액법 (Straight-line depreciation)
정액법은 가장 간단하며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정액법은 전체 자산이 잔존가액에 도달할 때까지 전체 유효 기간 동안 매년 동일한 감가상각 비용을 보고합니다. 단순히 자산의 잔존가액을 뺀 원가를 자산의 내용연수로 나누는 것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한 회사가 5,000달러의 비용으로 기계를 구입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 회사는 1,000달러의 잔존 가액와 5년의 내용연수를 결정합니다. 이러한 가정을 바탕으로 내용연수 중 총 감가상각 금액은 4,000달러($5,000 비용 – $1,000 잔존 가액)이며, 정액법을 사용한 연간 감가상각액은 $4,000/5년 또는 연간 800달러입니다. 그 결과, 감가상각률은 20% (800/$4,000)입니다.
.
.
2. 이중체감잔액법 (Double declining balance or DDB)
DDB 방법은 초기 몇 년 동안은 더 빠르고 많이 감가상각시키는 방법입니다. 자산의 내용연수의 역수를 취하여 두 배로 증가시킨 후, 이 비율을 감가상각비를 계산하고자 하는 회계연도의 장부가치에 곱합니다.
예를 들어, 내용연수가 5년인 자산의 역수 값은 1/5 또는 20%입니다. 두 배인 40%가 DDB 로 사용됩니다.
.
.
3. 생산단위 (Units of production)
생산단위에 따른 감가상각 방법은 사용 시간 또는 생산되는 총 단위 수에 기초하여 내용연수에 걸쳐 감가상각비를 계산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산이 생산할 총 단위에 대한 추정치가 필요하며, 감가상각 비용은 생산 단위 수에 따라 계산됩니다.
.
.
4. 연수합계법 (Sum-of-the-Years-Digits)
연수합계법은 이중체감잔액법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연초에 자산의 잔여 연수가 8년입니다. 총 연도 수의 합계는 1년에서 8년, 즉 36년(1+2+..+8)입니다.
자산취득원가-잔존가액이 10,000 일 경우
1년차의 감가상각비율은 8/36, 22.22%이며, 감가상각비는 2,222 입니다.
2년차의 감가상각비율은 7/36, 19.44%이며, 감가상각비는 1,944 입니다….
✔️부록: 감가공제원가(Depreciated cost)는 어떻게 회계처리하나요?
부록: 감가공제원가 (장부가) (Depreciated cost)
감가공제원가는 자산의 원가를 감가상각 누계액으로 차감한 후의 잔여원가입니다.
감가공제원가 =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
감가공제원가는 손상 등 기타 손해가 없다면 순 장부금액이나 장부상가치와 동일할 것입니다. 내용연수가 끝날 때, 자산의 감가공제원가는 자산의 잔존 가액과 같습니다.
감가공제원가를 시장가치와 비교하여 자산의 손상 여부를 조사할 수 있습니다. 자산을 매각하는 경우, 감가공제원가를 판매 가격과 비교하여 판매로 인한 손익을 보고할 수 있습니다.
✔️부록: 개념의 이해를 돕는 관련기사
'66일 습관의 법칙 > 02: 회사 직무 1)'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일차. 충격! 회계에서 감가(Depreciation)와 상각(Amortization)은 하나가 아니었다.. 감가상각 미묘한 차이 (0) | 2022.05.21 |
---|---|
21일차. 삼성SDI, 감가상각비 매분기 최대치 경신 (0) | 2022.05.21 |
19일차. ITP(검사시험계획서)작성법 (0) | 2022.05.20 |
18일차.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9001 품질경영시스템 (1) | 2022.05.18 |
17일차. 영세율 세금계산서와 구매확인서 Part 3~4. (0) | 2022.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