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서 올리는 공간입니다.』

【영어과외】【취직·이직 멘토링】【커리어 컨설팅(경력개발)】 진행합니다. carriver77@naver.com

Self-Development/논리 & 논술

[칼럼] 확증편향, 필터버블, 그리고 중용(中庸)

태뽕이 2023. 11. 15. 22:09
728x90
SMALL

[칼럼] 확증편향, 필터버블, 그리고 중용(中庸)

김경수의 미디어리터러시

 

2007년 스마트폰이 등장하고 2020년대에 유튜브 시청이 일반화되면서 우리는 더 많은 정보와 콘텐츠들을 동영상으로 시청하고 있다.

 

그러나 이 편리함과 유익함 뒤에는 부작용들이 숨어 있다. 이 중에서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피할 수 있는 부작용도 있지만, 피하기 어려운 부작용도 있다. 대표적인 것이 '확증편향'이다.

 

확증편향(確證偏向, Confirmation Bias)이란 자신의 견해 또는 주장에 도움이 되는 정보만 선택적으로 취하고, 자신이 좋아하지 않은 정보는 의도적으로 외면하는 현상, 즉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인간의 오류'이다.

 

확증편향이 피하기 어려운 이유는 '필터버블' 때문이다. 필터버블(Filter Bubble)이란 디지털 미디어 세계에서 정보제공자가 이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해 필터링된 정보만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 똑같은 단어를 검색하더라도 '누가 검색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좌파와 우파가 유튜브에서 "대통령"이란 공통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한쪽은 '긍정적 대통령'이 나오지만, 다른 한쪽은 '부정적 대통령' 영상이 나온다.

 

2008년 미국 최초의 흑인 대통령 '오바마 당선의 일등공신'이라는 평가를 받은 엘리 프레이저는 '생각 조종자들'이라는 책에서 "인터넷과 소셜미디어는 대중을 조종할 수 있는 무기"이고 "이 위험한 무기를 가진 자들이 대중의 생각까지 조작할 수 있다"며 '필터버블'의 위험성을 경고하였다.

 

필터버블의 핵심 요소는 '추천 알고리즘'이다. 유튜브는 2016년부터 기존의 추천 알고리즘에 머신러닝 AI 기술을 도입하면서 개인별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였다. 현재 유튜브의 추천 영상의 순위는 조회수, 시청시간, 좋아요 등을 조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가 원하는 정보를 제공받고 추천받는다는 것은 매우 편리하고 유익한 일이다. 그러나 반대로 내가 좋아하진 않지만 도움이 될 내용들, 또는 다른 문화나 정보들을 접할 기회를 아예 차단해버린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이 심각한 이유는 사회의 양분화, 양극화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극우, 극좌로 불리는 '정치 유튜버'들의 탄생이 대표적 사례이다. 그들은 상대에 대한 불만과 분노를 이용하여 특정 정치인을 증오, 혐오하는 콘텐츠들을 지속적으로 제작하며 수익을 창출하고 지지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필터버블은 디지털 미디어 경험이 부족한 유소년이나 노년층에게 더욱 빠르게 침투된다는 특성이 있다. 이들은 초기의 정보들을 여과 없이 받아드리고 관련 정보들을 반복 시청하면서 확증편향적인 자신만의 미디어 세계관을 구축한다.

 

영상콘텐츠 시청은 '음식물 섭취'와 유사하다. 자극적인 음식을 반복적으로 섭취하거나 편식하는 습관이 건강의 밸런스를 무너뜨리는 것처럼, 자극적인 동영상이나 편견이 강한 시청 습관은 정신적인 균형을 잃게 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균형 식단'과 같은 '균형 시청'이 필요하다. 이것의 경계선은 불분명하지만, 마지노선은 있다. 한곳에 정착하지 않고 무한한 디지털 미디어의 네트워크를 횡단하고 참여하는 미디어 리터러시(Media Literacy)이다.

 

누구나 실천가능한 미디어 리터러시는 자극적, 쾌락적인 영상보다 상식적, 미래지향적인 영상을 시청하고 소통하는 것이다. 소통 방식은 지식인들과 대화, 댓글 참여 또는 시청 후 독서 등 다양하다. 이를 통해 디지털 문법과 디지털 에티켓, 그리고 미디어 트랜드를 습득할 수 있다.

 

동양 철학에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것을 '중용(中庸)'이라고 한다.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이 도리에 맞는 것이 '중(中)'이고, 평상적이고 불변적인 것이 '용(庸)'이다.

 

나를 중심으로 선택하는 영상이 '중(中)'이라면, 미래지향적으로 선택하는 영상이 '용(庸)'이 될 것이다.

 

김경수 전남대 문화전문대학원 교수

 *출처: http://m.mdilbo.com/detail/dSOmnN/694242

 

728x90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