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elf-Development/SCM & 구매 (87)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 규격 명사 1. 일정한 규정에 들어맞는 격식. - 표준국어대사전 예문) 육상 경기 트랙의 국제 표준 규격은 한 바퀴가 400미터로 정해져 있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이번에 건설되는 자동차 경주장은 국제 규격에 비하면 작은 편이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학교 건물이나 여타 상업 시설과 달리 문화 시설에는 표준화된 규격을 설정하기 어렵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2. 제품이나 재료의 품질, 모양, 크기, 성능 따위의 일정한 표준. - 표준국어대사전 예문) 규격 봉투. 규격 제품. 규격에 맞추다. 3. 공업. 공업 제품이나 재료의 치수, 모양, 질 등의 일정한 표준. -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예문) KS 규격 그 회사는 기계를 규격에 맞추어 생산했다. 나라에서 비디오테이프의 규격을 통일했다. 필름에는 70밀리..
출처: https://youtu.be/krGQnuWcHK
※ Sourcing [전략구매 및 개발구매] Requirement definition ▶ Category analysis/strategy ▶ Supplier identification ▶ RFI/RFQ ▶ Negotiate contract ▶ Manage contract ▶ Supplier management. ※ Purchasing [조달구매] Identify need ▶ Purchase requisition ▶ Approval ▶ Purchase Order ▶Goods/Service Receipt ▶ Invoice match/Payment. 참고: 구매관리 기본 / 목진환/ 한국생산성본부 교재 개발구매 추진실무 / 목진환/ 한국생산성본부 교재
금형이란? 가장 먼저, 금형이란 무엇인가요? 1) 금형이란, 금속재료를 사용해 만들어진 틀을 말하며 동일한 크기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2) 금형은 국가발전의 필수 기반 산업입니다. 3)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제품의 90%가 금형으로 제작된다고 보면됩니다. 따라서 일의 수요가 많습니다. 4) 금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설계 도면이 필요하고 2D와 3D CAD를 활용하여 금형설계를 합니다. 사출금형과 프레스금형의 차이 사출금형은, 붕어빵틀에 플라스틱을 찍어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플라스틱 바가지를 만듦 프레스금형은, 철로된 세수대야를 생각하면 됩니다. 사출금형프레스금형제품재질 : 플라스틱 - 플라스틱의 가소성을 활용하여 용이하게 제품형상을 만듦 - 형상을 만들기 쉬워 3D 솔리드 형..
1. Flow 구매 → 구매 자재 Tracking(Inland/Ocean) → Inventory Forecast/관리 → 주간/월간/연간 생산계획 → 월간 연간 Wholesale 계획 -> 월간 연간 Final Goods Inventory 계획 관리 → 선적관리(Inland/Ocean) 2. Deeper • 자재 예상 도착일 / 항구 적재량 backlog • 협력업체 backlog 관리 / 협력업체 FGI / 선적 / 생산계획 Tracking: 제일 중요함 • 생산계획 → 주간 월간 타겟 → Order Sequence 배분 (이건 회사마다 각자의 알고리즘이 달라서 획일화 어려움) → 화물/생산성 최적화 • Working Capital 관리-> 구매 자재와 FGI 관리 • 선적관리 → 화물 최적화/비용 최..
제조업체 치고 장기재고에 민감하지 않은 곳은 없다. 재고가 장기화된다는 것은 돈이 그만큼 재고로 잠겨 있다는 것이다. 그 기업의 Cash flow에 끼치는 영향은 말할 것도 없고 그 기업의 Supply Chain 관리의 수준을 단적으로 말해 주는 지표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실제로 잘 안 되는 회사의 재고자산 현황 및 재고회전율을 DART 등의 자료에서 보다 보면 과연 잘 안 되는 회사치고 재고회전율 높은 회사 별로 없다. Supply Chain Management를 하겠다고 깃발만 높이 세우면 뭐하나? 장사 안 되면 곧바로 재고 쌓여 버리는데......라는 자조도 가끔 해 본다. 각설하고, 이 장기재고라는 것이 웃겨서, 사람이 계산하지 못할 바에는 결국 시스템의 계산에 의존해야 하는데, 시스템의 계산에..
http://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chungbuk/choisanghyeon/11-2.pdf
http://contents.kocw.or.kr/KOCW/document/2015/chungbuk/choisanghyeon/11-1.pdf
[구매 칼럼 두 번째] 우수한 구매 조직의 특징: TCO 접근과 실행 우수한 구매 조직의 특징: TCO 접근과 실행 의지 우수한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구매 조직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Global Consulting Firm 중의 하나인 Roland Burger StrategyConsulting이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찾기 위해 다양한 산업의 전 세계 500개 기업 CEO, CPO 및 구매팀 Manager들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 등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연구의 결과는 우수한 성과를 창출하는 구매 조직이 보유하고 있는 특징을 아래의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 매우 도전적인 원가 절감의 목표를 주기적으로 부여하고 달성하게 한다. 이는 단순히 원가 절감을 통해 수익성 개선라는 측면뿐..
[구매 칼럼 첫 번째] 구매 부문의 역할 변화 구매 업무를 거쳐 현재는 구매를 포함한 컨설팅 업무를 하고 있는데, 아무래도 일반 제조업에 종사하시는 분들보다는 구매와 관련한 자료를 찾거나 정리할 일이 많다. 개인적으로 생각도 정리해볼 겸 실제 구매 업무에 종사하시는 분들과 공유도 할 겸 구매 관련 내용을 칼럼 형태로 정리해서 올려볼까 한다. 물론 나도 경험이 많지 않아 부족한 점이 많겠지만.. 그 첫번째로 구매 부문의 역할 변화에 대한 칼럼에 대해 작성해보았다 구매 부문의 역할 변화 구매(購買)의 사전적 의미는 ‘물건이나 권리를 돈을 주고 다른 사람으로부터 넘겨받음’이라는 의미이다. 영어로는 Buying, Purchasing, Procurement로 표현되며, 이중 일반적으로 기업에서는 Purchas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