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1572)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 CPH; Critical Period Hypothesis : • 결정적 시기 가설(critical period hypothesis, CPH)은 언어 습득에는 결정적 시기가 있다는 언어학 및 심리학 가설이다. 언어 학습에 결정적 시기가 있다는 이 가설(假說)은 1967년 미국의 언어학자 에릭 레너버그(Eric Lenneberg) 교수가 《언어의 생물학적 기초》 라는 책에서 언급한 후[1] 대중에게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2] 에릭 레너버그는 2세부터 사춘기까지의 기간이 '언어 습득의 결정적인 시기'이며, 이 시기가 지나면 제1언어(모국어, L1)를 습득할 수 없고, 같은 이유로 인해 제2언어(외국어, L2) 역시 원어민만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vfppR/btsEYL3Bd1d/I7xJGKXz95QLXKZakbSAS1/img.png)
[WHY] Why are English kindergartens on the rise as the birthrate declines? English kindergartens, like Edible Village in Gangnam District, southern Seoul, are popping up all over the country, luring Korean parents with the promise that their kids will “naturally” pick up the foreign language. [PARK SANG-MOON] One after another, the 5-year-olds walked up to the stage in their navy blue uniforms,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d0SfeO/btsESqGgoB2/VylpDPmTaetNw7yd86xOik/img.png)
호주 RCM 인증: 호주에서 시행되는 강제 인증 제도 호주 RCM 인증 •호주 RCM 인증이란 RCM (Regulatory Compliance Mark) 인증은 호주에서 강제로 시행되는 제품 인증 제도입니다. 호주 정부의 규정에 따르면, 호주 시장에 판매되거나 사용되는 전기, 전자, 무선, 통신 등 다양한 제품들은 RCM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RCM 인증은 이전에 사용되던 A-Tick (호주)과 C-Tick (뉴질랜드) 인증을 대체하는 시스템으로 도입되었습니다. 2013년 3월 1일부터 시행된 이후로, 호주와 뉴질랜드의 제품 규제를 통합하여 일원화하고 단순화하며, 제품의 안전성과 성능을 높이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RCM 인증은 호주 통신 및 미디어 규정 기관인 ACMA (Australian Commu..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xgqq2/btsETSovYqg/C38tdfyLBK3gQ6TyfQowv0/img.png)
• CISPR; The Comité International Spécial des Perturbations Radioélectriques (CISPR; English - International Special Committee on Radio Interference) : 국제 무선 장해 특별 위원회; 國際無線障害特別委員會 -방송이나 일반 무선 업무를 각종 전기 기기의 전자파 장해(EMI)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국제 협력 촉진을 목적으로 1934년 설치된 국제 전기 표준 회의(IEC) 산하의 위원회. -전자파에 관한 허용 한도, 측정법, 측정 장비의 규격 등을 권고로서 발표하는데 참가국들이 국제 무선 장해 특별 위원회(CISPR)에서 발표한 규격집(publication)을 준용하여 기술 기준 및 법적 장치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vJzyY/btsETklgIG8/8T7HDKZn8XsP8LUx3WcCG0/img.png)
•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 국제 전기 표준회의 -전기에 관한 국제 표준을 정하여 각국 간의 조정과 통일을 도모할 목적으로 창설된 국제기구 *출처: http://terms.tta.or.kr/dictionary/dictionaryView.do?subject=%EA%B5%AD%EC%A0%9C%EC%A0%84%EA%B8%B0%ED%91%9C%EC%A4%80%ED%9A%8C%EC%9D%98
#hearing 관련 • hearing /ˈhɪrɪŋ/ 1-[uncountable] the ability to hear SEE ALSO hard of hearing : U 청력, 청각 e.g.) Her hearing is poor. 그녀는 청력이 안 좋다[귀가 어둡다]. He’s hearing-impaired. 그는 청각 장애인이다. The explosion damaged his hearing. She starting to lose her hearing. hearing loss 난청, 청력 상실 2-[countable] an official meeting at which the facts about a crime, complaint, etc. are presented to the person or gro..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eAsVfm/btsES85k6NO/xkcY3Es0CEXNjTtpv4ML70/img.png)
※ 성문법/불문법-관습법,판례법 III. 성문법과 불문법 성문법과 불문법은 법원(法源)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나눠지는 방법이다. 여기서 말하는 법원이란 재판을 하는 법원이 아니라 법의 근원을 뜻한다. 즉, 법을 어떠한 수단으로 인식하느냐의 차이이다. 1. 성문법 성문법이란 문서로 작성된 법률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법전이라는 문서로 법률이 작성되어있어 형식을 갖추고 있다. 성문법 국가는 대표적으로 독일, 프랑스, 중국, 일본, 한국 등이 있다. 성문법은 3가지 원칙을 가지고 있다. ① 상위법 우선의 원칙 성문법은 단계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헌법-법률-명령-규칙 순서의 단계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법을 적용할 때 상위법을 우선 적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와 원칙으로 인해 법률이 개인의..
🗣 스픽 🗣 📌 I hope you can assist me with managing any conversation. "taking care of"는 대화를 관리한다는 말보다는 무언가를 돌보거나 처리한다는 뜻이 강해요. "managing any conversation"으로 바꾸면 대화를 관리하는 것에 대한 도움을 구하는 더 정확한 표현이 됩니다. 📌 Could we talk about everyday life? 'Perhaps'는 여기서 필요 없고, 'the things about' 대신에 'talk about'을 바로 쓰는 게 더 자연스러워요. 'daily life' 앞에 'the'를 넣지 않고 'everyday life'라고 하는 게 일반적인 표현이에요. 📌 Recently, I started lea..
🗣 스픽 🗣 That's great! I'm all ears. What's been going on in your life lately? 📌 Okay, thank you for listening. Recently, I've been following up on some tasks related to preparing documents and gathering information about suppliers. 문장을 간결하게 만들고 필요한 부분만 남기세요. "following up" 뒤에 바로 "on some tasks" 같이 명확한 대상을 붙여 주는 것이 자연스러워요. 📌 No, it's for general matters. You know, when one company enters into a co..
🗣 스픽 🗣 ✔️ Today, I would like to discuss who will take the lead during the meeting, specifically, who will be responsible for writing the minutes. "take the lead"라는 표현이 회의를 이끄는 사람을 의미하고, "responsible for"는 어떤 일을 담당하는 사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해요. "So I mean" 대신 "specifically"를 사용하면 더 정확하고 자연스러운 영어 표현이 됩니다. ✔️ In principle, the person responsible for taking notes is usually the one who requested the me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