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공급망 관리 (109)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SRM(Supplier Relationship Management)이란 말 그대로 제품을 공급하는 회사들의 관계를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즉 공급사의 납품시기와 품질, 비용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써 기업간(B2B) 전자상거래 회사들에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이 SRM의 기본 개념이다. 고객관계관리(CRM)가 금융권에서 제조업종으로 확산되면서 서비스 대상이 일반 고객 위주에서 공급업체로 확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기업에서 SRM을 사용할 경우 자사에 제품을 공급하는 모든 업체별 비용과 만족도에 대한 순위를 책정할 수 있다. 또 과다한 공급물품이 무엇이고, 수량은 얼마나 되는지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지출을 줄이고 공급업체들과도 협상에서 유리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이..
SCM [Supply Chain Management] 기업에서 생산·유통 등 모든 공급망 단계를 최적화해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공하는 '공급망 관리'를 뜻한다. 제조-물류-소매점에 이르는 공급망 관리를 통한 판매(마케팅), 생산, 물류의 통합 연계 시스템을 기업 내외적으로 구축하는 것. '공급사슬관리' 또는 '유통 총공급망관리'라고도 불린다. 불확실성이 높은 시장변화에 고객, 소매상, 도매상, 제조업 그리고부품, 자재 공급업자 등으로 이루어진 공급망 전체를 기민하게 대응시켜 전체 최적화를 도모하는 관리 솔루션, 물자, 정보, 재정 등이 공급자로부터 생산자, 도매업자, 소매상인, 그리고 소비자에게 이동함에 따라 그 진행과정을 감독하는 것이다. 회사 내부와 회사들 사이 모두에서 이러..
We practice what we preach. • preach /priːtʃ/ 2-transitive, intransitive] to tell people about a particular religion, way of life, system, etc. in order to persuade them to accept it e.g.) *preach something to preach the word of God 하느님의 말씀을 전하다 He preached the virtues of capitalism to us. 그는 우리에게 자본주의의 미덕을 설파했다. *preach (about something) She preached about the benefits of a healthy lifestyle. 그..
DRP(Distribution Replenishment Planning)는 간단하게 핵심만 말하자면, 물류센터에 물건이 부족할 시, 이를 채우는 계획이다. 일단 물류센터는 총 3가지의 종류가 있다. • CDC (Central Distribution Center) : 중앙물류센터 • FDC (Front-End Distribution Center) : 유통 거점을 위한 센터 • RDC (Regional Distribution Center) : 지역물류센터 CDC에서 RDC로 갈 수록, 본사에서 대리점으로 간다는 느낌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여기에서 DRP가 사용된다. RDC에서 더 이상 고객에게 제공할 물품이 없을 때, 가만히 있는 것보단 제공할 수 있는 물품을 다시 채우는 행동이 맞는 행동일 것이다. 여기서..
DRP ( Distribution Resource Planning ) 유통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재고관리기법은 풀시스템과 푸시시스템이 있다. 풀시스템은 유통 네트워크의 하위 센터가 상위센터에서 제품을 끌어당기는 방식으로, 각각의 유통센터는 독자적으로 수요 예측과 발주량, 안전재고의 양을 결정한다. 전통적인 재고 관리 방식은 대부분 풀시스템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풀시스템은 사전에 계획적으로 수요를 예측하고 준비하는 기능이 부족하므로, 그 결과 중앙 유통 센터에서는 안전재고의 양이 많이 책정되어야 한다. 풀시스템의 정보의 흐름은 상위에서 하위로의 일방통행 방식이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푸시 시스템의 도입이 필요해졌다. 푸시시스템은 중앙 유통센터에서 종합적으로 재고 계획을 세우고 결정한다. 상하위..
Lead Time 제품의 조달시간 또는 생산을 위한 사전 준비를 위하여 필요시 되는 선행기간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어떤 제품이 ‘발주’되면서부터 주문받은 제품이 실제로 전량 ‘납품완료’ 되기까지 소요되는 전체적인 시간을 말한다. Lead time은 다음과 같이 나뉘어진다. 1) Manufacturing Lead Time (제조 소요시간: MLT)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단, 구매 프로세스에서 소요되는 시간은 제외). 2) Cumulative Lead Time /ˈkjuːmjəleɪtɪv/ (총 소요시간: CLT) 제품을 생산하여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간. 즉, 구매, 제조, 조립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 3) Delivery Lead Time (납기 소요..
S&OP (Sales&Operations Planning). 판매&생산 회의 라고 하여 '판생회의' 라고 부르기도 한다. S&OP 시작. 1980년대 중반 Oliver wight 사에서 제조업 컨설팅을 진행하던 중 영업팀의 판매 계획을 제품 생산 계획에 반영하자고 제안하면서부터 S&OP 라는 용어는 사용되었다. *제조의 영역을 마케팅, 영업 등과 연계시키는 등의 사업 영역 전반적으로 확대하여 관리하는 것은 MRP 에서 MRP 2 로 넘어가던 것과 관계가 있을 것이라 보여진다. MRP 와 MRP, ERP 에 대해서는 후에 정리해볼까 한다. 어떻게 하는 것? 대학 교재 등에는 다소 어렵게 나와 있는 것 같다. 생판회의라는 말 그대로 생산과 판매 전략에 대해 공유 및 결정되는 자리이며, 생산 / 구매 / 영업..
[물류용어] 재고관리 SKU란? 물류용어 SKU란 무엇일까? 오늘 전달 드릴 물류 용어는 [SKU], 일명 스큐라고 불리는 용어입니다. 특히 재고관리를 할 때 SKU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하시게 되는데, 정확히 이 물류용어는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떠한 상황에서 주로 사용되는 용어인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KU(Stock Keeping Unit): 재고관리 최소 단위 SKU라는 용어는 Stock Keeping Unit의 준말입니다. 유통업체와 물류업체에서도 고르게 사용되는 용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KU는 기업에서 재고관리를 할 때 쓰이는 재고 관리 코드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재고관리를 위한 최소한의 단위"라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모든 상품에는 ..
유닛 컨트롤을 전제로 한 상품단위. 재고품이 선반에 진열될 때의 단위란 데에서의 호칭이다. 또는 재고 관리(在庫管理)코드를 의미하며, 개별적인 상품에 대해 재고 관리 목적으로 추적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 관리 코드를 말한다. 생략하여 SKU라고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스톡 키핑 유닛 [stock keeping unit] (패션전문자료사전, 1997. 8. 25., 패션전문자료편찬위원회) 출처: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1916&cid=50305&categoryId=50305
조달은 물품, 용역, 서비스를 획득하는 입찰개념의 체계적인 프로세스입니다. 기업 전략과 적절히 조화를 이루면 조달 전략은 합리적으로 장기 목표에 초점을 맞추고 조달 경쟁우위를 제공하고 성공적인 비즈니스 운영을 위한 장기전략입니다. 조달주기의 단계는 식별 및 수요 계획 필요 - 물품/용역/서비스 요청 및 구매요청승인 - 조달기회공개 - 응찰(RFQ요청)/가격및기술평가 - 업체선정 및 협상 - 계약 / PO - 입고검수 - 마감 - 공급업체관계 및 평가의 순으로 진행됩니다. . . . 구매는 조직에 필요한 물품, 용역, 서비스 구매프로세스로 조달기능 보다는 작은 개념으로 말합니다. 이는 거래기반 주문, 상품수령 및 신속한 지불활동입니다. 원칙적으로 조달은 구매의 최고가치를 달성하기위한 포괄적인 전략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