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어 (55)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안녕하세요 "~의 경우에" 와 "~에 관하여/~에 대하여/~에 관련해서"는 서로 비슷한 의미로 이해할 수 있을까요? 예문) 우리 사장님의 경우에 (말하자면), 그는 일을 항상 철두철미하게 처리한다. 우리 사장님에 관하여 (말하자면), 그는 일을 항상 철두철미하게 처리한다. 우리 사장님에 대하여 (말하자면), 그는 일을 항상 철두철미하게 처리한다. 우리 사장님 관련해서 (말하자면), 그는 일을 항상 철두철미하게 처리한다. 대략적으로 "말하자면" 정도가 모든 전치사 뒤에 생략되있는 걸로 간주하면 더 의미가 비슷하게 느껴집니다. . . . . . [답변] 의미 안녕하십니까? 문의하신 표현은 맥락에 따라 비슷한 의미로 해석을 해 볼 수는 있겠습니다만 같은 표현이 아닙니다. '관하다'는 '말하거나 생각하는 대상으..
안녕하세요? 우리나라에서 '어떤' 의미가 여러 개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뜻일 경우; 대상을 뚜렷이 밝히지 아니하고 이를 때 쓰는 말. 이 경우에, 한국어는 어떤 + 단수명사 / 어떤 + 복수명사 이렇게 가능할까요? 예시) 어떤 여인 어떤 여인들 비밀번호 [답변]표현 안녕하십니까? 제시하신 표현에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고맙습니다. 출처: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04185

문장성분 [요약] 주성분 - 주어 - 서술어 - 목적어 - 보어 - 부속성분 - 관형어 - 부사어 - 독립성분 - 독립어 목차 문장성분 주성분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 부속성분 관형어 부사어 독립성분 독립어 문장성분 문장을 구성하면서 일정한 구실을 하는 요소. 하나의 문장이 되려면 갖추어져야 하는 요소들이 있어. 이를 문장성분이라고 한단다. 다시 말해, 문장성분이란 문장을 구성하면서 일정한 구실을 하는 요소야. 위에서처럼 문장성분은 어절로 구별할 수 있어서 쉽게 찾을 수 있어. 그 다음 각각의 말들이 문장 안에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알아보면 돼.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의 기능, 관형어나 부사어의 기능, 독립어의 기능 등이 있지. 이들 성분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단다. 문장성분 분류 주성분 문..
'로서'와 '로써'의 구분 [카테고리] 단어 쓰임 / 출처: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질문 '로서'와 '로써' 중 어떤 것이 맞나요? 답변 '로서'와 '로써'는 모두 쓸 수 있는데, 쓰임새가 다릅니다. 먼저 '로써'는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를 나타내거나, 어떤 일의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거나, 시간을 셈할 때 셈에 넣는 한계를 나타내는 격 조사입니다. (용례: 콩으로써 메주를 쑤다/대화로써 갈등을 풀 수 있을까?) 그리고 '로서’는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거나, 어떤 동작이 일어나거나 시작되는 곳을 나타내는 격 조사입니다. (용례: 그것은 교사로서 할 일이 아니다./이 문제는 너로서 시작되었다.) 관련단어: [신분] [로서] [로써] [자격] [지위]
표준어 규정 제2부 표준 발음법 제1장 총 칙 제1항 표준 발음법은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르되,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고려하여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장 자음과 모음 제2항 표준어 자음은 다음 19개로 한다. ㄱ ㄲ ㄴ ㄷ ㄸ ㄹ ㅁ ㅂ ㅃ ㅅ ㅆ ㅇ ㅈ ㅉ ㅊ ㅋ ㅌ ㅍ ㅎ 제3항 표준어 모음은 다음 21개로 한다. ㅏ ㅐ ㅑ ㅒ ㅓ ㅔ ㅕ ㅖ ㅗ ㅘ ㅙ ㅚ ㅛ ㅜ ㅝ ㅞ ㅟ ㅠ ㅡ ㅢ ㅣ 제4항 'ㅏㅐㅓㅔㅗㅚㅜㅟㅢ'는 단모음(單母音)으로 발음한다. [붙임] 'ㅚ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할 수 있다. 제5항 'ㅑㅒㅕㅖㅘㅙㅛㅝㅞㅠㅢ'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1. 용언의 활용형에 나타나는 '져, 쪄, 쳐'는 [저, 쩌, 처]로 발음한다. 가지어→가져[가저] 찌어→쪄[쩌] 다치어→다쳐[다처..
어느 날 보았습니다 먼 나라의 실험실에서 생의학자가 내가 가진 인간에 대한 기억을 쥐가 가진 쥐의 기억 안에 집어넣는 것을 나와 쥐는 이제 기억의 공동체입니다 하긴 쥐와 나는 같은 별에서 오랫동안 함께 살았습니다 사랑을 할 때 어떤 손금으로 상대방을 안는지 우리는 아주 오랫동안 생각했지요 쥐의 당신과 나의 당신은 어쩌면 같은 물음을 우리에게 던질지도 모르겠습니다 내 손을 잡아줄래요? 피하지 말고 피하지 말고 그냥 아무 말 없이 잡아주시면 됩니다 쥐의 당신이 언젠가 떠났다가 불쑥 돌아와서는 먼 대륙에서 거대한 목재처럼 번식하는 고사리에 대해서 말을 할 때 나의 당신은 시간이 사라져버린 그리고 재즈의 흐느낌만 남은 박물관에 대해서 말할지도 모릅니다 쥐의 당신이 이제 아무도 부르지 않는 유행가를 부르며 가을 ..
예전에는 블로그에 제목 없이 글을 쓰면 저장한 날짜와 시간이 제목을 대신 했었는데. 지금 와 생각해보면 그건 꽤 낭만적인 기능이었던 것 같아. 필름 사진에 날짜가 찍히는 것과 비슷한 기분이 들었어.
꽃게가 간장 속에 반쯤 몸을 담그고 엎드려 있다 등판에 간장이 울컥울컥 쏟아질 때 꽃게는 뱃속의 알을 껴안으려고 꿈틀거리다가 더 낮게 더 바닥 쪽으로 웅크렸으리라 버둥거렸으리라 버둥거리다가 어찌할 수 없어서 살 속으로 스며드는 것을 한때의 어스름을 꽃게는 천천히 받아들였으리라 껍질이 먹먹해지기 전에 가만히 알들에게 말했으리라 저녁이야 불 끄고 잘 시간이야
III. - 7. ((주로 ‘두고’ 꼴로 쓰여)) 어떤 것을 논쟁이나 감정, 언급의 대상으로 삼다. - 표준국어대사전 예문) 황소 한 마리를 두고 씨름판을 벌이다. 어른들이 영달이를 두고 나쁜 사람으로 평가하는 것은 사람을 잘못 본 것이라는 생각까지 들었다. 출처 그는 어떤 일을 할 것인지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어머니는 아들을 그 여자와 결혼을 시킬 것인지를 두고 망설이고 계신다 참고) 문형: -을 두고, -ㄴ지를 두고
안녕하세요?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208313&pageIndex=1 위와 같이 지난 답변 잘 받았습니다. 설명해주신 내용: 보이신 사전 용례들은 어미 '-기에'의 용법과 관련하지만, 뒤에서 예문으로 보이신 세 문장에서는 어미 ‘-기에’가 쓰인 것이 아니라 명사형 어미 '-기'에 조사 '에'가 결합한 구성입니다. 즉, ‘만지기에는/사기에는/사용하기에는'은 각각의 어간 '만지-/사-/사용하-'에, 그 말이 명사 구실을 하게 하는 어미 '-기', 격 조사 ‘에’, 보조사 ‘는’이 순서대로 결합한 형태로 보는 것이 타당하겠습니다. 따라서 어미 '-기에'가 쓰인 것인지, 명사형 어미 '-기'에 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