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영어시험 (49)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 뇌정지 왔을 때 가만히 있을래? 뭐라도 말할래? (https://www.youtube.com/watch?v=FHAHy7eK05M)#뭐라고 얘기해야 될까? Level 1. How can I explain this?= How can I say this?= How can I describe this to you?...Level 2.What am I trying to say (here)?= What am I talking about (here)?자기가 설명하고 있는 상태에서 본인이 깔끔하게 설명하지 못한다고 느끼고 있을 때, 설명이 좀 개뿔같다.'내가 지금 무슨 말을 하고 있지?' 하면서, "다시 한번 해볼게." 와 같은 뉘앙스. ...Level 3. All right, that was way too con..
• pre-set menu: 사전에 정해져 있는 메뉴 • signature menu: 대표적인 메뉴 • go-to menu: 항상 고르는 메뉴 • eat something on the spot: 그 자리에서 먹다 • crispy and crunchy: 바삭바삭한 • They(=음식점) have/serve the best 음식명 in town: • 맛집
※ 영어·한국어 숫자 읽는 법 및 표기법. 100 = one hundred / 1 hundred / = 1백 USD ↔ 약 10만 KRW 1,000 = one thousand / 1 thousand / = 1천 USD ↔ 약 100만 KRW 10,000 = ten thousand / 10 thousand / = 1만 USD ↔ 약 1천만 KRW 100,000 = one hundred thousand / 100 thousand / = 10만 USD ↔ 약 1억 KRW 1,000,000 = one million / 1 million / (≠1,000{one thousand} thousand{,000}) = 100만 USD ↔ 약 10억 KRW Ref) 1,100,000 = one point one milli..
※ 동격 (apposition) 동격(apposition)은 '문장 내에서 특정 어구와 동일한 구조와 성격을 갖춘 다른 어구'를 말한다. 화자가 어떤 단어(주로 명사)에 대하여 설명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면 동격을 사용한다. 듣는 이나 독자가 어떤 내용을 잘 모를 것이라고 생각되면 화자는 동격을 사용해 설명할 수 있다. 영어 apposition의 어원을 살펴보면 ap- = near이고 position = place로 '가까운 자리'를 뜻하기 때문에 동격(apposition)을 '가까운 자리에서 동일한 품사로 설명을 해주고 있는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apposition은 '동격'이라는 개념을, appositive는 '동격어인 단어, 구, 절'을 말한다. 1) 동격과 콤마 사용 - 제한적 용법과 비제한적..
과거에는 문법 위주의 듣기·읽기 교육에 치우쳤다. 말하기 쪽에 지나치게 치중하면 영어 실력의 불균형 문제가 다시 대두될 가능성도 있다. 말하기는 읽기나 쓰기보다 단어나 문법이 훨씬 간단하다. 유창하게 말한다고 해서 어려운 내용을 빨리 읽고 제대로 글을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학이나 기업에서 이러한 4개 영어 능력 간의 불균형이 발생하지 않는 방향으로 학생들이나 직원들을 교육하고 이끌어 줄 필요가 있다. 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3613308#home
♣ @(시간) late: @(시간) 늦은 / 늦게 【학습정보-Oxford Collocations Dictionary for students of English】 [형용사·부사]로 late이(가) 사용될 때 *Phrases • an hour, ten minutes, etc. ~ | leave it rather, very, etc. ~ e.g.) The train was 45 minutes late. (옥스포드) You've left it rather late to start your homework, haven't you? (옥스포드) Bill finally rolled up two hours late. (옥스포드) 빌은 마침내 두 시간이나 늦게 모습을 드러냈다. The train arrived at th..
• draw the line (at something/at doing something) -to refuse to do something; to set a limit : ~을 (하기를) 거부하다; 한도를 정하다[선을 긋다] e.g.) I don't mind helping, but I draw the line at doing everything myself. 난 돕는 건 꺼리지 않는다. 하지만 모든 일을 다 내가 하는 것은 거부한다. We would have liked to invite all our relatives, but you have to draw the line somewhere. 우리가 친척들을 모두 초대하고 싶었지만 어느 정도 한도를 정해야 하는 법이다. -------------------..
※ 잠 관련 동사: asleep / fall asleep / go to sleep / get to sleep / drift off / nod off / drop off : 이 표현들은 모두 잠을 자기 시작하는 것을 나타낸다. • fall asleep 잠이 들다(때로는 의도하지 않거나 적절한 때가 아닌데 그렇게 함을 나타냄): When she finally fell asleep, she began to dream. 그녀는 마침내 잠이 들자 꿈을 꾸기 시작했다. I pinched myself to stop myself from falling asleep. 나는 잠을 쫓으려고 내 몸을 꼬집었다. • go to sleep (특히 의도한 대로) 잠을 자다[잠이 들다]: I shut my eyes and tried..
주로 회화에서 쓰이며, 앞문장(주절)이 긍정이면 부정의 부가의문을, 앞문장이 부정이면 긍정의 부가의문을 사용. ● 주절에 be동사가 있을 땐 be동사, 조동사가 있을 땐 조동사를 부가의문문에서 사용한다. * They are listening to the radio, aren't they? * She can't speak French, can she? ● have가 본동사로 쓰여져 ‘소유하다’의 뜻일 땐 부가의문문에서는 do로 쓸 것. Tom has a book, doesn't he? (O) Tom has a book, hasn't he? (X) ● have가 조동사로 쓰일 땐 have로 쓴다. You've been to Pusan, haven't you? ● have to는 부가의문문에서 반드시 have..
# 곤란[곤경,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애를 먹고 있다, 고생하고 있다; 문제가 있다, * have difficulty in N / Ving * have trouble in N / Ving * have a hard time in N / Ving * have a difficult time in N / Ving * have a problem with N / Ving * have an issue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