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583)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효율적인 재고관리, 크로스 도킹 오늘은 크로스 도킹(Cross Docking)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크로스 도킹이란 창고나 물류센터에서 수령한 상품을 창고에서 재고로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곧바로 소매점포에 배송하는 물류 시스템 입니다. 즉, 보관 단계를 제거하고 창고나 물류센터에서의 체류시간을 줄여 배송기간 단축은 물론 물류비용 절감과 함께 물류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식을 말합니다. 그러므로 크로스 토킹에서는 배송의 동시화가 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크로스 도킹 시스템을 도입한 뒤 배송의 흐름을 도식화한 것입니다. 크로스 도킹의 목적은 프로세스의 단축과 개선, 물류비용 절감, 보관면적 축소, 단위면적당 생산성 향상, 수송과 배송서비스의 향상, 제조.유통.물류업체와의 협업..

물건을 생산하고 판매할 때 골칫거리 중 하나가 바로 '재고'입니다. 물건이 부족해도 문제, 넘쳐도 문제.. 고객의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힘들고.. 그렇다고 재고를 쌓아놓자니 소모되는 재고 관리 비용과 장소이 부담스럽고! 그래서 이런 재고관련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크로스도킹'시스템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실제로 크로스도킹을 도입해서 재고관련 비용을 많이 절감했다고 하는데요. 오늘은 재고비용을 확실하게 줄여주는!!! Cross dock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크로스도킹(Cross Docking)이란? 창고나 물류 센터로 입고되는 상품을 창고(warehouse)에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분류 또는 재포장의 과정을 거쳐 곧바로 다시 배송하는 물류 시스템입니다. 즉, 물류 센터는 상품 이동..
• missing 1-that cannot be found or that is not in its usual place; that has been removed, lost or destroyed SYNONYM. lost : (사물이) 제자리에 있지 않고 없어진[실종된]; (원래 있던 것이) 빠진[분실된/폐기된] *missing from something e.g.) I never found the missing piece. 나는 없어진 그 조각을 끝내 못 찾았다. Cases with missing data are excluded from the report. My gloves have been missing for ages. 내 장갑이 없어진 지 한참 되었다. Two files have gone missi..
질문. [인코텀즈 2020] Import Duty, Taxes & Security Clearance에서 "Security Clearance" 의미 질문입니다. 아래 인코텀즈 2020 조건을 설명하는 사이트를 보았는데, 인코텀즈 2020에서 의미하는 Security Clearance 뜻 질문드립니다. https://www.forwarder.kr/incoterms/ddp 답변: Duty: Duty'라는 국내로 들여오는 물품에 대한 세금', 즉 수입 관세의 의미로 해석. 'Duty free shop 관세와 소비세(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담배소비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는 매장을 말함. Tax :소비세(부가가치세와 개별소비세)를의미 Tax Free Shop은 외국인에 한해 매장서 상품을 구입 출국시 ..
#용법: look at or preposition + somebody/something + in/with 감정 관련 명사. *to look / watch / view / observe / regard (somebody / something) + in / with amazement / surprise / disapproval / dismay, etc. : (~을) 놀라서 / 놀라서 / 못마땅해하며 / 경악하며 보다[주시하다] e.g.) He looked at her in dismay. 그가 경악하며 그녀를 쳐다보았다.
• leave a lot, much, something, etc. to be desired -to be bad or unacceptable : 유감스러운 점이 많다, 많다, 있다 등 e.g.) The service in the restaurant left a lot to be desired. It leaves much to be desired It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be up to one's neck in something = be up to one's ears in something = be up to one's eyes in something = be up to one's eyebrows in something = be up to one's eyeballs in something -to have a lot of something to deal with : (해야 할 일 등이 아주 많아서) 목까지 차 있다 : (처리해야 할 일이) 목까지 차 있다 : ~이 목까지 차 있다[해야 할 ~이 태산이다] : (해야 할 일 등이) 머리끝까지 차 있다 : (해야 할 일이) 머리끝까지 차 있다 e.g.) We’re up to our neck in debt. 우리는 빚이 목까지 ..
• 방증 명사 1. 사실을 직접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되지는 않지만, 주변의 상황을 밝힘으로써 간접적으로 증명에 도움을 줌. 또는 그 증거. - 표준국어대사전 예문) 방증 자료. 명사 1. 어떤 사실의 진상을 간접적으로 증명함. 또는 그런 증거. - 고려대한국어대사전 예문) 이 책은 그가 우리 역사 연구의 독보적인 존재라는 하나의 방증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명사 - 우리말샘 1.사실을 직접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되지는 않지만, 주변의 상황을 밝힘으로써 간접적으로 증명에 도움을 줌. 또는 그 증거. 상위어. 증거 예문) 방증 자료.

FMCG 관련 이야기, 한국에서 이 시장의 영역이 급증! FMCG (Fast Moving Consumer Goods) 일용소비재를 의미하는 이 용어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급증하고 있는 시장영역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특히 이커머스 시장에서 1인 가구, 일용소비재의 수요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한국은 그 시장에서도 유독 돋보인다고 하는데요, 이유는 1인 가구 구매도 있겠지만 소셜커머스 사이트에서 슈퍼마켓 기능을 지원하는 품목의 확대와 일반 대형마트(유통망)에서 온라인 쇼핑사이트(예: SSG닷컴 등) 를 온오프라인 자유롭게 쇼핑할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쇼핑의 증가는 무인매장에서도 앞으로 다양한 편의성 갖춘 제품의 라인업이 돋보일 것으로 여겨지는데, 중국의 무인편의점 등 다..

FMCG는 Fast Moving Consumer Goods를 의미하며, CPG (Consumer Packaged Goods)라고도 불린다. FMCG는 일반적으로 식음료, 공산품, 소비용품 등의 대량 생산되고 저가 그리고 저용량의 제품들로 재고 회전율이 높은 제품들을 가리킨다. 샴푸, 세제 등과 같이 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제품들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간혹 우유, 과자 등의 먹거리들도 FMCG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식음료들은 보다 정확히 구분하면 Food & Beverage 부류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광의의 개념으로 본다면, 즉 대량 생산되고 일반적으로 마트 등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포장된 제품이라면 FMCG라고 볼 수도 있다. 마케팅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브랜드 매니저 혹은 프로덕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