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Self-Development/Horizons (77)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1. 학습(學習)의 정의 학습이란 사전적 정의로 배울 학(學), 익힐 습(習)이다. 배워서 익힘을 뜻하며, 어떠한 것에 대한 연습이나 경험의 결과로 일어나는 행동의 지속적인 변화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학습이란 행동의 변화이며, 순수심리학적인 견해는 진보적 또는 퇴보적인 행동의 변화를 모두 학습으로 간주하나, 교육적인 견해로는 바람직한, 진보적인 행동의 변화만을 학습으로 간주한다. 2. 습관(習慣)의 정의 습관이란 사전적 정의로 익힐 습(習), 익숙할 관(慣)이다. 어떤 행위를 오랫동안 되풀이하는 과정에서 저절로 익혀진 행동 방식을 뜻하며, 같은 상황에서 반복된 행동의 안정화 또는 자동화된 수행을 말한다. 즉, 자아가 획득한 지속적인 규정을 습관이라 하며, 좁은 의미로는 반복에 의한 근육 운동이나 ..

습관이 모여 사람을 만들고 미래를 결정한다. 정리정돈을 안 하는 습관은 성실하지 못한 사람이라는 인상을, 근육질의 중년은 자기관리가 철저하다는 이미지를 준다. 건강 음식을 챙겨 먹는 습관을 가졌다면 20년 뒤 질병에서 자유로울 수 있다. 하지만 좋은 습관 갖기는 쉽지 않다. 2012년 국제임상심리학회지에 실린 내용에 따르면 신년에 세운 계획이 성공할 확률은 8%에 그친다. 전문가들은 이렇게 습관을 고치는 게 어려운 이유를 뇌가 현 상태를 유지하려는 관성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습관을 바꾸거나 만들려면 남다른 전략이 필요하다. 21일 동안 반복해야 습관 기억세포 생성 새해가 되면 다양한 목표를 세운다. 습관을 바꾸려면 우선 기존 습관을 정말 그만둘 필요가 있는지를 생각해야 한다. 예컨대 밤마다 집에서 맥주 ..

새해를 맞이해 자기계발서, 열정을 타오르게 하는 다양한 글귀, 강의들을 들으며 올해에는 꼭 공부해야지! 라고 마음을 먹은 A 씨. 하지만 2018년이 시작한 지도 어언 1달이 지나가고, 하루 몇 시간이고 공부에 열중하던 A 씨는 어느새 피시방에 가서 게임을 하고 있습니다. 비단 A 씨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이 새로운 계획을 실행하다가 어느새 포기하고 마는데요. A 씨를 비롯한 사람들의 의지가 약해서 그런 걸까요? 이는 이미 습관화된 일들을 급진적으로 바꾸려 할 때 뇌의 반응에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합니다. 뇌는 갑작스러운 변화를 위협으로 받아들여 방어 태세에 들어간다고 하는데요. 갑작스럽게 맹수를 마주칠 때 본능적으로 도망치는 것과 같다고 합니다. 이 방어 본능은 평소 하지 않던 공부뿐만 아니라 금주, 금..

속독과 기억력의 핵심. 사진처럼 글 읽고 기억하는 법 (문해력 시리즈 5편) https://youtu.be/7v3HNuwodTg . 1) 머리 속에 읽는 것과 남기는 것을 일치시킬 필요는 없다. 본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정보를 머리에 남기는 게 좋다. . 2) 핵심 키워드는 반드시 암기해야 한다. 생성, 출력 기술이라는 말보다는 ‘모델링’과 ‘렌더링’이라는 말로 꼭 기억을 해두어야겠다. 짧은 세글자 단어는 머리 속으로 계속 반복, 암기하려고 해야 한다. . 3) 읽을 때, 결과부터 읽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상대방이 말할 때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일 때, 이유부터 읽고 결과로 넘어가면 절대로 이해할 수가 없다. 이해라는 건, 상대방의 기준을 받아들인 후 그 기준이 제대로 작동하는 지를 테스트해..

읽기, 독해는 기술입니다. (문해력 시리즈 4편) https://youtu.be/tdq0s34Z4qc ※ 이해력과 문해력 & 독해력은 구분해야 한다. • 이해력: 글을 읽고 진짜 내 것이 되었다라고 할 수 있는 것 • 문해력 & 독해력: 시간 내에 글의 구조를 파악하고, 문장의 최소한 의미를 파악하는 것. . . . ■ 3단계 방법. 1) 예시 지우기 . ★ 중심문장을 남기고 그것들을 이해할 수 있다면 나머지는 안 읽어도 된다. . . . 2) 쉬운 문장 찾기 . . . 3) 고유명사 바꾸기 . 중요문장만 남겨놓은 것. . ★ 진짜 독해력은, 남겨놓은 중요문장들을 나의 언어, 나의 표현으로 내가 이것들을 이해할 수 있는 최소한의 능력갖추는 것, 이런 게 독해력이라 할 수 있다. ★ 독해속도를 높이려면 취..

효율적으로 읽고 싶다면 눈알'이 아니라 '머리'로 읽으세요. | 문해력 시리즈 2편 https://youtu.be/ck3795-m8qw 1) 저자의 생각을 읽는 게 가장 중요하다. 예시) 인용을 어떤 식으로 해석할 지는 저자에 달려있다. 시를 읽고 해석할 때 개개인 감상은 다양하고 주관적일 수 있으나 시험에서는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감상을 묻는다. → 인용을 한 사람의 의견을 먼저 읽을 필요가 있다. ▼ . 2) 문제부터 읽는다. 왼쪽의 [A]를 모두 읽고 문제를 풀면 안 된다. 28번 문제에서 정리가 된 내용을 활용해야 한다. . 3) 이미 [A]내용가 28번 문제에 정리되어 있다. 오른쪽의 표의 내용을 가지고 왼쪽의 글을 만드는 것이다. 예시는 괄호를 쳐 둔다. 글/문제의 구조를 이용해서 푼다. ▼ .

글이 빨리 읽어지지 않거나 읽어도 기억에 남지 않는 분들은 '이렇게' 읽으셔야 합니다. | 문해력 시리즈 1편 https://youtu.be/pdXy3urH-pQ • 문제: 글의 내용을 전부 읽고 이해했는가? 그럼 이 문제 한번 풀어보겠는가? 문제를 푼 정도에 따라 글의 독해력을 측정해보겠다. → 문제를 어떻게 출제했는지를 보면 어떤 부분을 중점적으로 읽어야 되는지 찾을 수 있다. 1) 문제 구성 원리를 이해하려고 노력하지 마라. . 2) 문제를 보고 자주 나오는 단어(키워드)를 확인한다. (가) 키워드를 확인하는 과정에 어떠한 개념 및 내용을 추론을 한다. (나) 머리 속으로 정리된 내용: 장기 이식, 이식과정에서의 문제점, DNA와 RNA, 레트로바이러스 . 3) 글을 읽기 전, 이 글은 다음의 내용..
자료(Data)와 정보(Information)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관찰된 팩트 즉, 사실을 수집해서 모아 놓은 것이 자료이고, 그 자료를 특정 목적에 맞게 가공해서 판단의 근거로 사용될 수 있도록 의미와 가치를 부여한 것이 정보입니다. “오늘 기온은 영상 8도이고 습도는 75%입니다.”는 자료입니다. “기온이 영상 8도이고 습도가 75%인 기상 조건하에서 눈이 아닌 비가 올 확률은 지난 10년간 68% 였습니다. 오늘 우산을 반드시 챙겨야 합니다.”는 정보입니다. 같은 글이라도 정보는 판단의 가이드가 될 수 있지만 데이터는 무의미합니다. 요즘은 넘쳐나는 자료 홍수 속에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 자료에서 유의미하고 가치있는 데이터만을 추출해내는 인공 지능 기술을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이라 ..

비교하면 쉽다 IT 용어 - 데이터(Data), 정보(Information)의 구별 데이터와 정보 데이터(Data, 자료)는 현실 세계에서 측정하고 수집한 사실이나 값이고, 정보(Information)는 어떠한 목적이나 의도에 맞게 데이터를 가공 처리한 것입니다. 어떤 의미나 목적을 포함하지 않고 단순 수집된 원시 자료가 데이터, 어떤 목적이나 의도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데이터에 의미를 부여한 것이 정보입니다. 우리는 보통 의미를 부여한 데이터, 즉 정보를 사용하여 의사 결정을 내리고 문제를 해결합니다. 정보와 데이터의 차이 예를 들어, 우리나라 지역별로 매 시간 기온을 측정한 수치 자료는 데이터이지만, 이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평년 기온을 구하거나, 일자별, 지역별 데이터를 정리해서 어떤 의..

액화천연가스 [ liquefied natural gas, 液化天然─ ] 요약 천연가스를 정제해서 얻은 메테인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스를 냉각시켜 액화한 것이다. 장점은 액화공정 전에 탈황·탈습되기 때문에 그 성질이 천연가스보다 뛰어나고 청결하며 해가 없는 것이다. 액화천연가스는 메테인의 부피 백분율이 90% 이상이기 때문에 LNG와 LMG(liquefied methane gas)는 호칭상 혼용(混用)되고 있다. 액화천연가스는 액화공정 전에 탈황, 탈습되기 때문에 그 성질이 천연가스보다 뛰어나고 더욱이 청결하며 황분이 없고 해가 없으며 고칼로리라는 점 등 장점이 많다. 천연가스의 주성분인 메테인은 1atm하에서 -161.5℃ 이하로 온도를 내리면 액체가 되는데, 액화된 메테인의 부피는 표준상태인 기체상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