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물류 (49)
태뽕이의 자기계발 & 경력개발
중개무역과 중계무역 Additional 2 중개무역 (Merchandising Trade) 중계무역 (Intermediary Trade) 또는 삼국간무역 수출자와 수입자가 존재하고, 이 계약 관계를 중개하는 중개인이 있음. 이때, 매매 계약에 의한 차익을 누리는 것이 아니라, 단순 중개역할에 의한 중개수수료(commission)만 받음. 실제 매매 계약에 의한 차익을 누리는 거래형태. A(제조사 혹은 1차 수출국)에서 제품을 구매한 B (A와 동일 국가일수도 있고, 다른 국가일 수도 있음)가 이윤을 더하여 C (최종 수입국)에 판매하는 형태. B 업체는 A와 C가 직접 거래를 하는 것을 우려하여, A와 C의 정보가 선적서류를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하고자 함. *Commercial invoice, Packi..
경제용어 중에는 '중계무역'과 '중개무역'이 모두 있는데 각각 다르게 쓰인다. '중계무역'은 '다른 나라로부터 사들인 물자를 그대로 제삼국으로 수출하는 형식의 중간(통과) 무역'을 의미한다. 이에 반해 '중개무역'은 '수출국과 수입국 간의 무역 거래에 제삼국의 무역업자가 개입해 화물을 이동시키고 대금 결제의 당사자가 되는 무역 형태'를 나타낸다. 실제로 한국의 어떤 회사가 중국 회사의 제품을 수입해 미국 회사로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한다면 이는 '중계무역'이 된다. 그러나 직접 계약을 맺지 않고 중국 회사와 미국 회사가 서로 계약하는 것을 돕고 중개 수수료를 받는다면 '중개무역'이 된다. *출처: https://www.joongang.co.kr/article/2811365#home =============..
※ 2023년 제27회 물류관리사 합격수기 ------------------------------------------------------------------------------------------------------------------. 1. 물류관리사 에듀윌을 선택한 계기 2. 물류관리사 시험 대비 공부방법 (비전공자) 1) 단기적 목표 2) 중기적 목표 3) 장기적 목표 3. 물류관리사 시험 결과 4. 물류관리사 학습 관련 계획표 ------------------------------------------------------------------------------------------------------------------. 1. 에듀윌을 선택한 계기 [강의구성, 커리큘럼, 강의..
(3) Hub & Spoke 시스템 ① Hub & Spoke 시스템의 개념 *자전거 바퀴를 연상. ㉢ 대개 Hub에서는 제품의 보관 기능은 없고 제품의 분류 기능(Sorting)을 담당한다. Ref) 많은 경제학자들은 ‘연구대상 1호 기업’으로 익일배달서비스의 신화를 창조한 ‘페덱스(FedEx)’를 꼽고 있다. 세계 최대의 항공화물회사인 페덱스를 창업한 프레드 스미스(Frederick Smith;1946~)는 1965년 예일 대학교에서 경제학과목을 수강하던 중에 새로운 화물수송 시스템에 관한 학기말 리포트를 제출했다. 스미스는 아이디어를 자전거 바퀴살을 보다가 얻었는데, 그것은 미국 내 인구밀집지역에 화물집결지인 허브(hub)를 만들어서 모든 화물을 여기에 집결시켜 재분류한 후, 자전거 바퀴살(spoke..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L0tvJ/btsnOfah8GV/6GDgIIbTIcHct7mnJjiggK/img.png)
※ 수입화물대도 [ Trust Receipt ] T/R이라고 약칭한다. 신용장에 의거하여 발행된 화환어음은 수입자가 어음의 대금을 지급하지 않고는 그 어음의 담보로 첨부되어 있는 선적서류를 입수할 수 없다. 무신용장의 D/P 어음도 그 어음의 대금을 지급하지 않고는 선적서류를 입수할 수 없다. 신용장 유무와 관계없이 결제자금을 은행으로부터 차입하여 수입대금을 결제하는 경우에도 결제 전까지는 선적서류는 은행의 담보물이다. 수입자는 선적서류 없이는 수입통관신고를 할 수 없고 또한 운송인에게서 수입화물을 인도받을 수 없어 거래상 불편이 많다. 따라서 선적서류의 소유권은 담보물로 그것을 보유한 은행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 선적서류를 대도(貸渡)받기 위하여 은행소정의 수입화물대도(T/R)신청서에 필요사항을 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WeZc4/btsnWFTXCPb/etYpNMpEDct0SLwKvkMt5K/img.png)
수입화물대도 (T/R, Trust Receipt) . 1. 단어 뜻으로 이해하기 '수입화물대도'에서 대도(貸渡)라는 말이 핵심인데요. '대(貸)'는 '빌리다 대','도(渡)는 '건네다 도'의 의미예요. 즉, '수입 화물을 빌리다'라는 말이 수입화물대도의 의미죠. 영어로는 Trust Receipt인데요. 'Trust'가 '신뢰, 믿음, 신용'의 의미이고 Receipt가 '수령, 인수'의 의미이기 때문에 '믿고 준다'라는 의미가 담겨있어요. . 2. 탄생 배경 수입자가 수입지에 도착한 물품을 선사로부터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적서류인 선하증권(B/L)을 입수해야 하는데요. 주로 수출자는 선적서류를 자신의 거래은행을 통해서 수입지국 은행에 넘기고 수입자는 물품 대금을 수입지국 은행에 납부하고 해당 선적서류를 인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pTV4r/btsn1I9p3Gw/8wkKf2EoOMKTV4Pyn6Lwyk/img.png)
수출자와 수입자간의 무역거래에서 물류비와 책임부담에 대해서 어느 구간까지 책임을 질것인가에 대해 정형적으로 정해놓은 거래가 바로 인코텀즈입니다. 오늘은 인코텀즈의 Group E 에 속하는 EXW에 대해서 설명해드릴께요! . EXW는 EXPORTER WORKS 의 약자입니다. 수출자가 부담하는 운송에 대한 모든 책임이 수출자의 공장에서 수입자에게 전가되어 공장에서부터의 운송, 수출통관, 보험까지 모든 것을 수입자가 부담하는 조건이예요! 수출자는 수입자가 운송수단을 이용해서 물건을 픽업해갈 수 있도록 준비해두면 모든 책임이 끝나게 됩니다. 수출통관을 수입자가 진행한다는 것이 조금 생소할 수도 있지만 EXW의 조건에서는 수출통관 또한 수입자가 진행하게 됩니다. . 인코텀즈는 크게 두가지 조건에 대해서 정형화된..
존스 법(Jones Act). 2012.11.13 ◆존스 법(Jones Act)은 미국 해안의 선박 사용을 제한하고 자국 조선업 보호 육성을 위해 1920년대에 재정된 법이다. 미국 해안에 정박하는 모든 여객선과 화물선은 미국에서 건조된 선박이어야 하며 소유권도 미국인에게 있어야 한다는 법이다. 이런 존스법은 최근 불어 닥친 슈퍼스톰 '샌디'의 영향으로 일시적으로 완화됐다. 미 국토안보부는 샌디 여파에 따른 북동부 지역의 연료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외국 국적의 유조선이 멕시코만에 입항할 수 있도록 허용한 것이다. 국토안보부는 이 같은 조치를 오는 11월13일까지 지속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허리케인 샌디 영향으로 동북부 지역의 2개 정유시설이 폐쇄되면서 에너지 부족 사태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fGWVL/btsm8QBifU5/pwDp8GAT1DZwGcAn315x70/img.png)
존스액트(영어: Jones Act)는 1920년에 제정된 미국의 법률(Merchant Marine Act of 1920)의 제27조를 지칭한다. 미국 내에서 선박수송시 운항되는 선박은 미국내 소재 또는 미국민이 소유하거나 운영하는 항구나 시설 등을 이용하여야 한다는 강제규정이다. 타 국가의 선박에 대한 차별성으로 WTO 일반이사회 등에서 많은 논란이 제기된 바 있지만 국가 안보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예외조항이 됐다. 한미FTA 협상에서 김종훈 수석대표는 쌀개방을 요구하려면 존스액트를 폐지하라고 하여, 미국으로부터 쌀개방을 막아냈다.[1] 운항권 제한 운항권 제한을 뜻하는 영단어 'Cabotage'는, 본래 연안 무역을 뜻하는 선박 용어이다. 현대에 들어서 근해 연안선박과 항공기 및 철로 등의 운행권을 자국..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D353T/btslLFa9xWn/PcIlv5e1b7QMKtQtL1XeoK/img.png)
한-EU FTA 인증수출자 유효기간 만료 유의 對EU 수출기업, 이것만은 반드시 챙기자! 한-EU FTA 인증수출자 유효기간 만료를 주의하세요! 대구세관은 한-EU 자유무역협정(이하 한-EU FTA)의 발효 10주년을 맞이하여 EU로 수출하는 인증수출자를 대상으로 유효기간 만료 후 재인증, 수출품목 확대 시 추가인증 등 주요 유의사항 및 FTA 활용 전반에 걸친 컨설팅을 실시했습니다. 인증수출자란, 관세당국이 원산지증명 능력이 있다고 인증한 수출자에게 원산지증명서 발급 권한을 부여(한-EU FTA) 또는 첨부서류 제출간소화 혜택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대구세관은 한-EU FTA 협정의 핵심이 되는 인증수출자 제도가 적절하게 운영되고 있는지 관내 352개 인증수출자를 대상으로 점검해 인증수출자 기간 만료 ..